[윤수지 기자] 은행권의 전세자금대출 증가세가 올해 들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의 전반적인 하락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대출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10월 말 현재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76조9천257억원으로 전월보다 1조4천34억원 늘었다.

전월 대비 증가액이 9월에 1조2천99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증가 규모가 다소 확대됐다.

하지만 올해 전반적인 전세대출 증가세는 둔화되는 추세다. 

올 10월까지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13조9천496억원(22.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10월에는 15조1천525억원(34.0%) 증가했다.

전세자금대출 증가세가 둔화한 요인으로는 우선 올해 전세가격이 내린 점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0월 아파트 전세가격이 수도권에서 0.38% 올랐으나 올해 들어 10월까지는 1.99% 내렸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도 올 10월까지 1.67% 하락했다. 작년 1∼10월엔 0.22% 상승했다.

서울에서는 전월세 거래량도 줄었다.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올 1∼10월 아파트 전월세 거래 신고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13만4천841건)보다 5.7% 감소한 12만7천220건이다.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이 전세자금대출을 옥죄기도 했다. 정부는 9·13 대책에서 1주택자는 부부합산 소득 1억원까지만 공적 보증을 제공하고 2주택 이상은 아예 공적 보증을 제한하기로 했다. 

공적 보증이 없으면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않으므로 사실상 전세자금대출 대상자를 소득이 1억원 이하인 1주택자로 한정한 셈이다.

공급 측면에서 보면 은행들이 내년에 시행하는 신(新)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을 의식해 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지 않는 이유도 있다.

신예대율에서는 가계대출에 가중치가 붙어 가계대출이 많으면 많을수록 현재보다 예대율이 오르게 된다.

한편, 5대 은행 중 올해 들어 전세자금대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농현은행으로 10월까지 5조7천846억원이 늘었다. 그다음으로 많이 늘어난 하나은행(2조9천807억원)보다 증가 규모가 두배나 됐다.

이는 농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다른 은행보다 쌌기 때문이지만 농협은행이 싼 금리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예대율 관리에서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