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지난 2분기 급상승 했던 제조업체의 체감 경기가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천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경기전망지수(BSI·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3분기보다 1포인트 하락한 72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경기전망지수가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고, 밑돌면 전 분기보다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다.

수출기업들의 경기전망지수는 85로 2분기보다 3포인트, 내수기업 경기전망지수는 69로 1포인트 떨어졌다.

대한상의는 "수출이 10개월째 마이너스, 상장사 상반기 영업이익은 37% 감소하는 등 세계 경제 성장 둔화세로 민간 부문의 성장 모멘텀이 약해진 상황"이라며 "여기에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원자재 값 변동성,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안 요인들이 한꺼번에 몰려 체감경기를 끌어내렸다"고 지적했다.

업종별로는 제약(113)만 기준치를 상회할 뿐 철강(65), 정유·석유화학(67), 자동차·부품(69), IT·가전(69), 기계(73), 조선·부품(91) 등 다른 모든 주력 제조업종은 경기 전망이 부정적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자동차·부품·기계 업종이 밀집한 전북(51)과 경남(61), 대구(61)의 체감 경기가 다른 지역보다 부진하게 나타났다.

올해 국내 기업들이 연초에 세운 영업이익 목표치 달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 3곳 중 2곳(62.5%)이 "못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목표치에 근접하거나 달성할 수 있다"는 응답은 35.1%, "초과 달성"이라는 응답은 2.4%에 불과한 것과 대조적이다.

기업의 투자 상황 역시 작년보다 나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과 비교한 올해 투자 추이에 대한 질문에 "악화했다"는 답변이 31%로 "호전됐다"(11%)보다 약 3배 많았다. "별 차이 없다"는 의견은 58%였다.

기업들은 경제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로 탄력적인 고용·노동(45.9%), 규제개혁(23.5%), 자금 조달 유연화(21.2%), 연구·개발(R&D) 및 인력 지원 강화(9.4%)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