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지난해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늘면서 사망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28만827명으로 전년보다 4932명(1.8%)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83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사망자 수는 2014년 이후 3년 연속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있다.

성별로 보면 여자가 12만8천298명, 남자가 15만2천529명이었으며, 전년보다 각각 2천852명(2.3%), 2천80명(1.4%)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를 뜻하는 조사망률은 전년보다 7.9명(1.5%) 늘어난 549.4명으로 1992년(539.8명) 이래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년 대비 사망자 수는 80세 이상(5.9%)과 60대(4.3%)에서 주로 증가했다. 

사망률 성비는 전 연령층에서 남자가 높았다.

영아(출생 후 1년 이내) 사망자 수는 1천154명으로 전년보다 36명(3.0%) 줄었다. 영아 사망자 수는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영아 사망 원인은 호흡곤란 등 출생 전후기 특정 병태(52.9%)가 가장 많았고 선천기형·변형·염색체 이상(19.9%) 등이 뒤를 이었다.

▲ [그래픽] 고령화로 작년 사망자 수 역대 최대…30만명 육박

임신 28주 이상부터 생후 7일까지 출생 전후기 사망자 수는 1천132명으로 전년보다 159명(12.3%) 감소했다.

출생 전후기 사망률은 전년보다 0.2명(5.4%) 줄어든 2.8명으로 OECD 국가 평균(5.5명)의 절반 수준이었다.

모성 사망자 수는 전년보다 4명 줄어든 34명이었다.

출생아 10만 명당 사망자 수인 모성 사망비도 전년보다 8.4명으로 0.3명 줄었지만 OECD 국가 평균(6.8명)보다는 높았다.

모성 사망비는 25∼29세가 5.9명으로 가장 낮았고 40세 이상이 15.7명으로 가장 높았다.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는 4천747명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남자(16.1명)가 여자(2.4명)의 6.6배에 달했지만 남녀 간 격차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치매에 의한 사망자 수는 9천16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296명(3.1%) 줄었지만 10년 전인 2006년(4천280명)과 비교하면 두 배 넘게 늘어난 결과다.

치매 사망률 성비는 0.5배로 남자가 여자의 절반 수준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경기(2천210명), 인천(667명) 순으로 많이 증가했다.

시도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를 뜻하는 조사망률은 전남(874.8명), 경북(781.7명), 전북(758.2명) 등 순이었다.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337.2명으로 전년보다 10.4명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충북(372.5명), 강원(368.8명), 울산(366.9명) 순으로 높았고 서울(298.4명), 경기(321.8명), 대전(329.4명) 순으로 낮았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고령화로 전체 인구 중 노인 인구 비중이 높아지면서 사망자 수가 늘고 있다. 조사망률도 더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