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민간소비 증가세가 주춤한 가운데 앞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층이 소비를 주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관심을 받고 있다.

8일 한국은행 조사국에 따르면 '고령층 소비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가구주 기준)의 소비증가 기여율은 2011∼2015년 38.5%에서 2016∼2020년 62% 정도로 올라갈 것으로 됐다.

소비증가 기여율은 전체 가구의 소비 증가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킨다. 보고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진입으로 고령층 가구 수가 증가하고 가구당 소득은 적극적인 경제 활동 및 사적연금 수급 증대에 힘입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며 "고령층의 소비성향 하락세도 연금소득 증가, 기대수명 연장 추세의 감속 등으로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령층 가구의 소비증가율은 2011∼2015년 연평균 7.1%에서 2016∼2020년 8%대 중반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전체 가구의 소비에서 고령층 가구의 비중은 2015년 18.8%에서 2020년 24% 수준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이런 분석은 고령화의 급진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지난 5년간 전체 가구 수는 연평균 1.5%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고령층 가구 수는 4.5%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체 가구에서 고령층 가구의 비중도 2010년 25.2%에서 지난해 29.1%로 올라갔다. 고령층의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연금소득도 늘어나는 추세다.

고령층이 노후자금 부족 등으로 구직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고령층 고용률은 2010년 36.0%에서 지난해 39.0%로 상승했다, 고령층의 연금소득도 지난 5년간 연평균 9.3% 늘었고 고령층의 전체 소득에서 연금소득 비중은 2010년 15.2%에서 지난해 19.1%로 확대됐다.

그러나 고령층의 기대수명 증가, 저금리와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에 따른 자산소득 축소 가능성은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지난 5년간 기대수명 연장은 고령층의 소비성향을 연평균 0.25% 포인트 낮춘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고령층 가구가 자산의 대부분을 주택, 토지 등 실물자산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 소비에 필요한 유동성이 제약될 수 있다. 보고서는 "고령층이 국민 경제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고령층에 적합한 일자리를 확충함으로써 소득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유자산 유동화를 활성화함으로써 고령층이 취약한 노후소득을 보완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주택연금 가입 촉진,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