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연 기자]  제주4·3평화재단이 反대한민국 사관의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기자 출신 김석범씨에게 '제주4·3평화상' 첫 수상자로 결정한 것을 놓고 비판여론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제주4·3을 국가추념일로 지정한 것은 대한민국 건국을 막기 위해 1948년 남로당이 일으킨 무장반란으로 인해 무고한 양민이 희생된 것을 위령하기 위해서인데도 건국을 막으려던 무장반란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석범씨에게 '제주4·3평화상'을 수여하는 것은 대한민국 건국이 잘못됐다는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나 마찬가지로 큰 파문이 일고 있다.

언론 역시 이 점을 비판하면서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옮기는 김씨에게 상을 수여하는 것은 잘못됐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조선일보 “北 대변자에게 국민세금 1원도 들어갈 수 없다” 

조선일보는 13일 사설 <제주4·3평화상 첫 수상자가 北 대변자라니>에서 “제주4·3평화재단이 선정한 '제주4·3평화상' 첫 수상자 김석범씨가 지난 1일 열린 시상식에서 수상 소감을 통해 대한민국 초대 정부를 '친일파 민족 반역자 세력을 바탕으로 구성한 정부'로 매도하면서, 4·3 사건에 대해서는 '내외 침공자(우리 정부와 미국)에 대한 방어 항쟁' '조국 통일을 위한 애국 투쟁'이라고 말한 사실이 밝혀졌다.”며 “북한이 그동안 해온 주장 그대로다.”고 지적했다.

이어 “4·3 사건은 남로당이 대한민국의 건국을 막으려고 1948년 일으킨 무장 반란으로 촉발된 사건이다. 이 사태로 목숨을 잃은 제주도민 1만5000여명 중엔 무고한 양민이 다수 포함돼 있다.”며 “대한민국 정부가 4·3을 국가 추념일로까지 지정한 것은 이 무고한 희생자들을 위령하고 해원(解寃)하자는 뜻이다.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한 무장 반란을 정당화하려는 뜻이 결코 아니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는 “그런데 그 첫 수상자가 대한민국 건국을 매도하고 무장 반란을 정당시하는 사람이라면 국민과 정부가 4·3 사건을 추념하려는 근본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4·3평화상은 제주 4·3 사건의 진상 규명과 평화·인권 신장, 국민 통합에 기여한 공로자를 발굴한다는 취지로 제정됐다. 제주 출신인 김씨는 1950년대부터 일본에서 4·3 관련 소설 집필을 해왔다고 하지만 조총련 기관지인 조선신보 기자 출신”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4·3평화상이 북의 주장을 옮기는 사람에게 주는 상이라면 단 1원의 국민 세금도 들어갈 수 없다.”며 “4·3재단도 김씨의 대한민국 매도와 무장 반란 정당화에 동의하는지 밝혀야 한다.”고 부연했다.

동아일보 “대한민국을 ‘민족반역자들이 세운 정권’으로 폄훼한 자에게 세금으로 상금이라니”

동아일보도 이날 <대한민국 폄훼 인사에게 세금으로 賞 준 4·3평화재단>이란 제하의 사설을 통해 “올해 제정된 제주4·3평화상 제1회 수상자로 선정된 재일교포 작가 김석범 씨에 대한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다.”며 “건국이념보급회 등 12개 보수우파 단체는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수상 취소와 상금 반환, 제주4·3평화재단 해산을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씨가 상금으로 받은 5만 달러(약 5450만 원)는 국민 세금이고, 김 씨를 수상자로 선정한 제주4·3평화재단은 중앙정부 지원금 30억 원, 지방정부 지원금 13억 원 등 연간 50억 원의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아일보는 “김 씨는 1일 열린 시상식 수상 소감에서 대한민국 초대 정부인 이승만 정부를 ‘친일파, 민족반역자 세력을 바탕으로 구성한 정부’라고 매도하면서 “제주도를 젖먹이 갓난아기까지 빨갱이로 몰아붙였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이어 ““4·3학살은 미군정시대에 미군 지휘 아래에서 일어난 대참극”이라며 “제주도민의 저항은 내외 침공자에 대한 방어항쟁이고 조국통일을 위한 애국투쟁”이라고도 했다. 대한민국 건국과 한국 현대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깔려 있는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4·3사건의 전개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까지 피해를 본 것은 비극적인 일이지만 그 발단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거를 방해하려는 남로당의 무장폭동”이라며 “한반도의 남쪽에나마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의 대한민국이 세워진 것이 얼마나 다행한 일이었는지는 광복과 분단 70년 동안 나타난 남북한의 극명한 차이에서도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씨는 일본에서 북한 정권의 방침을 대변하는 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기자를 지냈다. 그가 대한민국 건국과 4·3사건에 대해 개인적으로 어떤 평가를 하는 것은 그의 자유에 속한다.”면서도 “그러나 대한민국을 “민족반역자들이 세운 정권”이라고 폄훼한 사람에게 제주4·3평화재단이 국민 세금으로 거액의 상금을 주는 것은 그냥 지나칠 수 없다. 김 씨를 제1회 4·3평화상 수상자로 결정한 4·3평화재단, 이 재단에 대한 감독권을 가진 행정자치부와 제주도의 책임이 무겁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