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3일 92세의 나이로 영면한 털럭 교수는 그간 공공선택론의 창시자로서 외부성(공공재), 소득재분배, 지대추구 등에 관한 매우 큰 이론적 기여를 해왔다”

[뉴스파인더 윤수지 기자] 자유경제원은 “고든 털럭 교수의 학문세계와 한국에 주는 시사성을 짚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이같이 취지를 전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황수연 교수(경성대 행정학과)는 “털럭의 창의성은 가장 먼저 공공선택론의 창시 자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며 “공공선택론은 정치·행정 현상의 분석을 경제학적 방법론을 적용한다. 그가 창시한 공공선택론은 정부 부문에서의 정치가, 관료, 이익집단 등도 시장 부문에서의 소비자, 생산자 등과 마찬가지로 사익을 추구한다는 가정에 입각하여 이론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한편, 황교수는 1991년 9월 중순 풀브라이트 교환 교수로 선발되어 미국에 가게 되면서 고든 털럭 교수와의 개인적인 인연을 맺게 된바 있다.
 
김영신 부연구위원(한국경제연구원)은 “고든 털럭의 가장 큰 학문적 업적은 제임스 뷰캐넌(James M. Buchanan)과 공저한 『국민합의의 분석: 입헌 민주주의의 논리적 근거』”라고 말했다. 또한 “개인의 합리적 선택을 기반으로 정치부문을 분석하여 현실의 정치제도와 정치인, 관료의 유인체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평했다.
 
김행범 교수(부산대 행정학과)는 “복지확대 문제도 지대추구 관점에서 다시 보자”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복지가 여타의 분야의 지대 배분에서 보다 더 위험한 것은 소수의 기업들이 지대를 얻기 위해 싸우는 게임보다 복지 배분 게임에서 잠재적 수혜자(저소득층)가 과반수를 차지할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이라며 정치권은 각종 이득을 두고 대기업들이 경쟁하는 경우보다 복지라는 지대 배분에 큰 유혹을 받기 쉽다“고 말했다.
 
최승노 부원장(자유경제원)은 “정치라는 행위도 결국 인간의 행위이며 인간은 교환행위를 통해 서로가 이익을 보는데 익숙해 있다. 정치라고 해서 특별히 다를 이유가 없다. 정치 역시 교환행위라는 측면에서 보면, 그동안 정치학에서 풀지 못했던 많은 의문점이 풀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