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찾아온 지구 [사진=연합뉴스]
기후위기 찾아온 지구 [사진=연합뉴스]

[박민정 기자] 지난해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도 역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다. 

기상청은 작년 기후 특성을 분석해 16일 발표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3.7도로,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51년 사이 가장 높았다.

종전 1위인 2016년(13.4도)과 비교하면 작년 연평균기온이 0.3도나 더 높았다.

2023년 평균기온 분포도. [기상청 제공]
2023년 평균기온 분포도. [기상청 제공]

지난해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 연평균 값도 각각 19.2도와 8.9도로 역대 1위였다.

폭염일(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과 열대야일(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은 14.2일과 8.2일로, 평년보다 3.2일과 1.6일 많았다.

기상청은 "북태평양을 비롯해 우리나라 동쪽에 고기압성 흐름이 발달하면서 따뜻한 남풍이 불 때가 잦았고, 이에 기온이 높은 날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작년은 모든 달이 평년 기온보다 높았다. 

연평균기온 상승을 이끈 달은 전국 평균기온이 평년기온보다 3.3도와 2.1도 높았던 3월(전국 평균기온 9.4도)과 9월(22.6도)이었다.

6월(22.3도)과 8월(26.4도)도 기온이 평년보다 0.9도와 1.3도 높아 특히 더운 달에 해당했다.

여름 더위도 길게 이어졌는데, 장마가 끝나고 7월 하순부터 9월 상순까지 52일간 단 하루 빼고 모두 평년보다 기온이 높거나 비슷했다.

최근 10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 [기상청 제공]
최근 10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 [기상청 제공]

지난해 우리나라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평균 17.5도로, 이는 최근 10년(2014~2023년) 평균치보다 0.4도 높았고, 10년 사이 2번째로 높았다.

열두달 중 우리나라 주변에 고기압이 폭넓게 자리 잡았던 9월의 해수면 온도(25.5도)가 10년 평균과 차이(1.7도)가 가장 컸다.

2023년 월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와 10년 평균과 편차. [기상청 제공]
2023년 월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와 10년 평균과 편차. [기상청 제공]

작년은 한국뿐 아니라 전 지구가 역사상 가장 더운 해에 올랐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전 지구 연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45±0.12도 높았다.

WMO는 "올해가 더 더울 수 있다"고 밝혔다.

작년 우리나라 연강수량은 1천746.0㎜로, 1973년 이후 3위에 해당했다.

평년 연강수량(1천193.2~1천444.0㎜)과 비교하면 약 32% 많았다.

비가 온 날은 108.2일로, 평년(105.6일)과 큰 차이가 없었다.

작년 일평균 강수 강도는 16.1㎜로 평년(12.6㎜)보다 3.5㎜ 많은 역대 1위였다.

호우(1시간 강수량이 30㎜ 이상)가 기록된 날과 일강수량이 80㎜ 이상인 날은 각각 2.9일과 3.8일로, 평년(1.9일과 2.4일)보다 잦았고 모두 역대 2위였다.

2023년 강수량 분포. [기상청 제공]
2023년 강수량 분포. [기상청 제공]

지난해 태풍은 북서태평양에서 17개가 발생(평년 25.1개)해 제6호 태풍인 카눈 1개가 우리나라에 영향(평년 3.4개)을 줬다. 

작년 우리나라에서 황사가 관측된 날은 평년(6.6일)보다 5.2일 많은 11.8일로, 1973년 이래 5번째로 황사가 잦았다.

지난해 봄 중국 북동부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고 기온은 평년보다 높아 이 지역에서 모래 먼지가 자주 일었다. 이 먼지가 북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유입됐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