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수지 기자]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가구 평균 자산이 2천만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천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 감소세다.

거주 주택 자산이 10% 줄면서 전체 자산 보유액이 축소됐고, 주택 가격 전망이 나빠지면서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 비율도 줄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86만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부채 역시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조사 결과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천45만원(3.7%) 감소한 5억2천727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3천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

금융자산은 1억2천587만원으로 3.8% 증가했지만, 실물자산은 4억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10.0% 감소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브리핑에서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자산이 감소했다"며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요인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해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1.7%포인트(p) 늘어났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5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억6천122만원), 60대 이상(5억4천836만원), 39세 이하(3억3천615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6천43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5억6천907만원), 무직 등 기타(4억6천278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3천152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7천458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7천287만원)의 6.8배였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6천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천956만원)의 39배에 달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규모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7억7천82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중 부동산이 5억7천492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세종은 전체 자산(7억2천3만원)과 부동산(5억4천484만원)이 서울에 이어 2위였으며, 경기(6억2천58만원)도 전국 평균(5억2천727만원)보다 자산 규모가 컸다.

충남(3억3천355만원)은 전국에서 자산 규모가 가장 작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86만원으로 작년 대비 0.2% 증가했다.

이중 금융부채는 6천694만원으로 작년보다 1.6% 줄었고, 임대보증금은 2천492만원으로 5.3% 증가했다.

부채가 있는 가구 비율은 62.1%로 작년보다 1.3%p 감소했다.

소득 5분위별로는 소득 1분위 평균 부채가 2천4만원으로 작년(1천633만원)에 비해 22.7% 증가했다. 2013년의 26.0%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었다.

2분위(4천432만원)와 3분위(7천443만원)는 각각 3.7%, 3.0% 줄었다. 4분위(1억1천417만원)와 5분위(2억634만원)는 각각 0.3%, 0.4% 늘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40대 보유액이 1억2천531만원으로 가장 많고, 50대(1억715만원), 39세 이하(9천937만원), 60대(6천206만원) 순이었다.

작년 평균 부채액이 1억193만원이었던 39세 이하는 부채액이 2.5% 감소했다. 60세 이상은 2.7%, 40대는 1.6% 증가했다. 50대는 0.4% 감소해 큰 변동이 없었다.

29세 이하의 부채액은 4천708만원으로 6.1%, 금융부채도 6.3% 각각 줄었다. 반면, 이들의 자산은 1억3천498만원에서 1억4천662만원으로 8.6% 증가했다.

박 과장은 브리핑에서 "고금리로 집을 처분하면서 29세 이하 연령층이 전월세로 이동하는 모습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종사상지위별로는 무직 등 기타의 부채가 작년 4천310만원에서 올해 4천714만원으로 늘어 증가율이 9.4%로 가장 높았다.

임시·일용근로자(3천444만원→3천533만원)의 부채도 2.6% 늘었다. 자영업자의 부채는 1억2천381만원에서 1억2천97만원으로 2.3% 줄었고, 상용근로자 부채도 1억1천450만원에서 1억1천360만원으로 0.8% 줄었다.

입주 형태별로는 전세 가구의 평균 부채가 1억2천373만원으로 자가(1억690만원)보다 많았다.

금융부채는 담보대출 5천241만원, 신용대출 1천1만원, 신용카드 관련 대출 63만원 등이다.

금융부채는 전체 가구 빚의 72.9%로, 작년에 비해 비중이 1.3%p 감소했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55.7%였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금융부채 1억2천10만원, 소득 7천704만원, 자산 5억7천631만원을 보유했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 인식 조사 결과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7.6%로, 전년에 비해 3.2%p 증가했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5%로 작년보다 0.8%p 늘어났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