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연 기자] 국내 주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마약 유통 정보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실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심위는 지난해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 국내 마약류 유통 정보와 관련해 2만6천13건의 시정을 요구했다.

이는 2017년(3천561건)과 비교 시 7배가 넘는 수치다.

네이버 서비스에서의 마약 판매 실태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실 제공]
네이버 서비스에서의 마약 판매 실태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실 제공]

국내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유통·적발된 마약류 정보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7천551건→8천130건→1만7천20건→2만6천13건)했고, 올해는 지난달까지 2만1천934건에 달했다. 

일상으로 파고드는 마약이 갈수록 심각해지며 '마약 청정국'의 지위가 크게 흔들리는 가운데, 주요 온라인 플랫폼이 사실상 유통의 한 축으로 역할 하는 셈이다.

지난해 기준 사업자별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마약류 정보가 적발된 곳은 트위터(1만4천779건)였으며 이어 텀블러(578건), 페이스북(84건), 구글(42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국내 양대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에서도 작년에 각각 4건, 12건이 적발돼 시정 요구를 받았다.

네이버의 경우 카페·밴드에는 '대마초 판매', '아이스·작대기(필로폰의 은어) 문의'라는 글이 올라와 방심위에 적발됐다.

카카오의 경우 지난해 서비스형 블로그 티스토리에 "대마 팝니다. 떨(대마의 은어) 팝니다. 아이스 팝니다. 얼음 팝니다. 대마초 파는 곳. 대마 파는 곳"이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덜미를 잡혔다.

방심위는 게시글 단위의 불법 유해 정보(마약 등)의 경우 삭제 요청, 블로그 전체에 유해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이용 해지, 플랫폼이 해외에 서버를 둔 경우 접속 차단으로 시정 요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사업자의 마약류 유통 정보 삭제·해지·차단 조처는 대부분 임시방편의 미봉책에 그치고 있다.

카카오 서비스에서의 마약 판매 실태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실 제공]
카카오 서비스에서의 마약 판매 실태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실 제공]

박 의원은 "근본적으로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의 마약 모니터링 강화가 절실하다"며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한 플랫폼 사업자들은 마약 특별 검수 조치를 시행해 마약 판매 글을 뿌리째 뽑을 수 있도록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방심위는 온라인 영역에서 버젓이 유통되는 마약 판매 글을 발견 즉시 경찰·검찰에 이첩해 범죄자들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