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형 기자] 청소년들이 온라인상에서 당한 각종 신체·언어 폭력이나 성폭력을 경험한 비율이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초등학생 세 명 중 한 명 이상은 성인용 영상물을 이용해 봤고, 아르바이트를 하는 청소년 세 명 중 한 명 정도는 최저시급도 못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7∼10월 전국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 1만4천5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2020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여가부가 2년마다 실시하는 조사로 국가 승인 통계다.

청소년 중 성적 모욕감을 주는 행위, 성관계 시도, 스토킹 등의 성폭력 피해를 겪은 응답자들은 피해가 발생한 장소로 온라인 공간(44.7%)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학교(32.5%), 공터·놀이터 등 동네(10.7%) 순으로 응답했다.

성폭력 피해 장소로 온라인 공간을 꼽은 비율은 가장 최근 조사 시기인 2018년에는 17.1%에 그쳤지만 2년 사이에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한 셈이다. 이 기간 학교에서 성폭력을 당했다는 비율은 62.8%에서 32.5%로 절반 아래로 줄었다.

2018년 조사에서 온라인을 피해장소로 지목한 여학생은 24.2%였는데 지난해에는 58.4%로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남학생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 비율도 8.3%에서 19.8%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성폭력 가해자에 대해서는 '같은 학교에 다니는 사람'이라는 응답이 47.4%, '잘 모르는 사람'(33.3%), '온라인에서 새로 알게 된 사람'(9.9%), '같은 동네에 사는 사람'(9.1%) 등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가해자로 모르는 사람을 지목한 남학생의 비율은 지난해 23.3%로 2018년 4.3%보다 5배 이상 늘었다. 여학생은 16.1%에서 38.8%로 두 배 이상으로 확대했다.

성폭력이 아닌 언어·신체적 폭력과 따돌림 등 폭력을 당했던 청소년들은 피해 장소로 학교(45.9%)를 온라인 공간(26.7%)보다 많이 꼽았다.

다만 2018년 조사 당시 온라인 공간에서 피해를 봤다는 비율이 10.7%인 점과 비교하면, 지난해 온라인 공간에서의 폭력 경험 비율도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온라인 폭력 피해 경험률이 2018년 4.8%에서 지난해에는 24.9%로 6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여학생의 온라인 폭력 피해 비율은 18.5%에서 29.1%로 증가했다.

폭력 가해자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 사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남학생은 2018년 4.5%에서 지난해 10.0%로 증가했고, 여학생은 3.1%에서 4.7%로 높아졌다.

여가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미디어 접촉이 증가하고 온라인 상에서 알게 된 사람을 만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학교급별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 추세[여성가족부 제공]

청소년 전체적으로는 최근 1년간 폭력 피해 경험률이 2018년(8.5%)보다 2.6%P(포인트) 하락한 5.9%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성폭력 피해율은 1.0%P 떨어진 1.8%로 집계됐다.

청소년의 성인용 영상물 이용실태와 관련해서는 초등학생의 이용률이 2018년(19.6%)보다 33.8%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전체의 이용률은 2018년(39.4%)보다 다소 줄어든 37.4%를 기록했다. 

중·고등학생의 28.3%는 지금까지 1잔 이상 술을 마셔본 경험이 있고, 8.7%는 담배를 피워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2018년과 비교해 각각 5.2%P, 0.9%P 낮아졌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식당 영업이 단축되고 외식업 폐업이 증가한 등의 영향으로 청소년의 주요 아르바이트 업종도 음식점에서 배달·운전 등으로 변화했다.

▲ 연도별 부당행위 및 처우 경험 시 대처 방법(중복응답)[여성가족부 제공]

음식점·식당 등의 비중은 2018년 45.9%에서 지난해 37.2%로 낮아진 반면 배달·운전 아르바이트 비율은 0.5%에서 15.2%로 대폭 증가했다.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청소년 중 29.9%는 최저시급을 못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청소년도 18.9%에 이르렀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추경 13억원을 배정해 '청소년유해매체 모니터링단' 200명을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2023년까지 위기청소년 조기 발견과 정보 공유, 서비스 신속 연계를 위한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