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토론방

제목

계동지월(季冬之月). 음력 12월로 마지막 겨울의 달. 한국에서 가장 추운 소한과 대한이 있음.

닉네임
beercola
등록일
2017-01-23 02:15:46
조회수
13835
1]. 계동지월(季冬之月). 음력 12월로 마지막 겨울의 달. 한국에서 가장 추운 소한과 대한이 있음.




유교 경전인 예기에 나타나는 중요한 종교의례 몇가지로는 계동지월(季冬之月)에 "토우(土牛)를 만들어서 문밖에 내놓고 추위를 전송한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또한 "이 달에는 어부에게 명하여 처음으로 고기잡이를 하게 하는데 천자가 몸소 가서 물고기를 잡는다. 돌아와서 물고기를 시식하기 전에 먼저 침묘에 바친다"고 하는 구절이 있으며, "농사를 다스리는 벼슬아치에게 영하여, 농민으로 하여금 오곡의 씨앗을 내놓도록 하고 이를 고르게 하여 오는 봄의 농사를 계획하는데, 괭이를 수선하게 하고 밭갈이용의 기구를 구비하게 한다"고 하는 구절등이 있습니다. .




2]. 유교 경전인 예기의 월령편에 나오는 계동지월(季冬之月).



季冬之月 日在婺女 昏婁中 旦氐中 其日壬癸 其帝顓頊 其神玄冥 其蟲介
其音羽 律中大呂 其數六 其味鹹 其臭朽 其祀行 祭先腎







계동(季冬)의 달에는 진(辰)이 무녀성((婺女星)에 있다. 저녁에는 누성(婁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고, 아침에는 저성(氐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다. 그 날은 임계(壬癸), 그 제는 전욱, 그 신은 현명, 그 동물은 개속(介屬)이며, 그 소리는 우조(羽調), 그 율은 대려(大呂)에 해당되고, 그 수는 6, 그 맛은 짠맛, 그 냄새는 썩은 냄새이고 그 제사는 행신(行神)인데 제사지낼때는 희생의 신(腎)을 먼저 바친다.




. 필자 주 1). 계동지월(季冬之月)에 대해 이 책의 번역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음.




겨울의 끝 달, 12월




. 필자 주 2). 무(婺)는 별이름 무. 무녀성(婺女星)의 무녀에 대해 이 책의 번역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음




28수(宿)의 하나. 북방 제 3수성인 여성(女星).




. 필자 주 3). 이십팔수[二十八宿]에 대해 한국 고전번역원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하늘의 적도를 따라 그 남북에 있는 별들을 28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부른 이름.




. 출처: 이십팔수[二十八宿]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저녁에는 누성(婁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고, 아침에는 저성(氐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다. 그 날은 임계(壬癸), 그 제는 전욱, 그 신은 현명, 그 동물은 개속(介屬)이며, 그 소리는 우조(羽調), 그 율은 대려(大呂)에 해당되고, 그 수는 6, 그 맛은 짠맛, 그 냄새는 썩은 냄새이고 그 제사는 행신(行神)인데 제사지낼때는 희생의 신(腎)을 먼저 바친다.




. 필자 주 4). 누성(婁星)의 누(婁)에 대해 이 책의 번역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28수의 하나. 서방의 제 2수성




.필자 주 5). 저성(氐星)




저성(氐星)의 저(氐)에 대하여 이 책의 번역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28수의 하나. 동방의 제 3 수성








鴈北鄕 鵲始巢 雉雊 雞乳 命有司大難 旁磔 出土牛以送寒氣 是月也 命漁師始漁

天子親往 乃嘗魚 先薦寢廟 冰方盛 水澤腹堅 命取冰 冰以入 令告民出五種

命農計耦耕事 修耒耜具田器




기러기가 북방을 바라보고 까치가 비로소 집을 짓고 꿩이 울며 닭이 알을 낳는다. 유사에게 명하여 크게 역귀를 쫓도록 하고 또 사방의 문에 희생을 달아매어 음기를 쫓는다. 그리고 토우(土牛)를 만들어서 문밖에 내놓고 추위를 전송한다.




이 달에는 어부에게 명하여 처음으로 고기잡이를 하게 하는데 천자가 몸소 가서 물고기를 잡는다. 돌아와서 물고기를 시식하기 전에 먼저 침묘에 바친다. 얼음은 한창 두텁고 수택(水澤)은 그 중복에 이르기까지 단단히 얼어붙으므로, 얼음을 채취하도록 명하여 남김없이 빙고에 넣는다[그런 후 복명하는데 이것으로써 장빙(藏氷)의 일을 끝내는 것이다]. 그리고 농사를 다스리는 벼슬아치에게 영하여, 농민으로 하여금 오곡의 씨앗을 내놓도록 하고 이를 고르게 하여 오는 봄의 농사를 계획하는데, 괭이를 수선하게 하고 밭갈이용의 기구를 구비하게 한다.















是月也 日窮于次 月窮于紀 星回于天 數將幾終 歲且更始 專而農民

毋有所使




이 달에 해는 마지막 차(次)에 이르고 달은 해와 최종의 회처(會處)에서 만나며 28수는 하늘을 돌아 그 원위치로 돌아가 1년의 일수(日數)가 장차 끝나려고 한다. 또한 새해가 바로 시작되려고 하니, 농민을 잘 보살펴서 농사에 전념하도록 하며, 부역을 일으켜서 부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역해자(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3]. 음력 24절기인,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에 대한 설명




1. 달력에 나타나는 소한과 대한




1). 소한[小寒]: 양력 2017년 1월 5일로, 음력으로는 2016년 12월 8일(평달)에 해당됩니다.




2). 대한[大寒]: 양력 2017년 1월 20일로, 음력으로는 2016년 12월 23일(평달)에 해당됩니다.







2.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에서 설명하는 소한과 대한.






1). 소한[小寒]




24절기의 하나.


내용



동지와 대한 사이에 있으며 음력 12월, 양력 1월 5일경이다. 태양이 황경 28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절후의 이름으로 보아 대한 때가 가장 추운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은 우리 나라에서는 소한 때가 가장 춥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소한 추위는 꾸어다가라도 한다.’는 속담은 바로 이런 데서 나온 것이다.

옛날의 중국사람들은 소한으로부터 대한까지의 15일간의 기간을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돌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하였다.



. 출처: 소한[小寒]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대한[大寒]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후(節候)이다.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후(節候)이다. 양력 1월 20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00°되는 날이다. 대한은 음력 섣달로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시작하여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지며 대한에 이르러서 최고에 이른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경험에 입각한 것이고 우리 나라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1월 15일께이므로 다소 사정이 다르다.

그래서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죽었다.”,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도 있다. 즉, 소한 무렵이 대한 때보다 훨씬 춥다는 뜻이다.

제주도에서는 이사나 집수리 따위를 비롯한 집안 손질은 언제나 신구간(新舊間)에 하는 것이 관습화되어 있다. 이때의 신구간은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간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1주일이 된다고 한다.



. 출처: 대한[大寒]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이나 중국등지의 유교와 전통명절을 되돌아보고, 다방면으로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일:2017-01-23 02:15:46 61.43.67.6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게시물 댓글

비회원 로그인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