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김정일의 사망을 공표하는 것과 동시에 그가 생전에 정해 놓은 바에 따라 약관(弱冠) 28세(어쩌면 27세)의 셋째 아들 김정은(金正恩)을 3대 째의 세습 독재자로 옹립하는 것을 기정사실화 하는 조치를 발 빠르게 실천에 옮기고 있다.

북한의 관영 매체들은 19일 김정일의 사망을 발표하면서 동시에 김정은을 “주체혁명 위업의 위대한 계승자”?“당과 군대와 인민의 탁월한 영도자”로 호칭하고 “당-군-민이 김정은의 영도를 받들 것을 맹세했다”고 주장하면서 이날 발표된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232명의 명단 가운데 김정은의 이름을 첫 번째로 호명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의 매체들은 그 동안 김일성(金日成)과 김정일에게만 사용되던 “걸출한 사상이론가,” “천출위인(天出偉人),” “불세출의 선군영장(先軍靈將)”과 같은 시대착오적인 수식어를 느닷없이 김정은의 이름 앞에도 붙이기 시작했다. 김일성-김정일에 맞먹는 김정은 우상화(偶像化)가 시작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김정일 사망 이후에 대처함에 있어서 북한이 이미 준비된 각본(脚本)에 의거하여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단 ‘조선노동당’을 중심으로 김정은을 정점(頂点)으로 하는 후계체제 구축을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체제의 등장이 과연 안정적으로 원만하게 이루어질 것일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아직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이미 오래 전부터 예고되었든 김정일의 죽음이 실제로는 예상보다 앞당겨 갑자기 이루어지는 바람에 김정은에 의한 후계구도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김정일의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번 김정은과 그의 아버지 김정일의 권력세습 과정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 우선 김정일의 권력세습은 1973년으로부터 20여년이라는 긴 세월에 걸쳐 추진된 것이었음에 반하여 김정은의 그것은 2009년부터 시작하여 3년 미만에 불과하다. 김정일은 ‘3대혁명소조 운동’을 이끌고 그의 숙부(叔父) 김영주(金英柱)와의 권력 암투에서 승리한 승자(勝者)의 입장에서 1973년9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선전-선동 담당 비서가 되었고 다음 해인 1974년부터는 ‘당중앙(黨中央)’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김일성(金日成)의 후계자로서의 위치를 사실상 확보했으며 1980년10월의 6차 당대회에서 비로소 실명(實名)을 사용하면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당 비서, 당 군사위원회 위원이 되어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로 호칭되는 김일성의 공식 후계자의 위상을 공식화했었다.

북한의 권력체제는 이때부터 아버지가 아들의 우상화를 주도하는 가운데 ‘김일성 회장-김정일 사장’의 양두(兩頭) 마차로 변질되어 있었다.

이 동안 김정일은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1990년 5월), 인민군 총사령관(1991년 12월), 인민군 원수(1992년 4월)를 거쳐 1993년4월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어 1994년7월 김일성의 사망 이전에 이미 대부분의 권좌(權座)를 석권했을 뿐 아니라 특히 군 조직을 전반적으로 장악, 통제하고 있었다. 북한은 1998년 개정헌법 전문에서 김일성을 “영원한 국가주석”으로 추대하고 있는 특이한 “영원한 유훈통치(遺訓統治)” 국가이다.

김정일은 국가주석을 제외한 북한 권력구조의 최정상 권좌인 ‘조선노동당 총비서’-‘국방위원회 위원장’-‘인민군 총사령관’의 세 자리 가운데서 이미 김일성의 생전에 ‘국방위원회 위원장’과 ‘인민군 총사령관’의 자리를 독차지하고 있었다. 그는 ‘조선노동당 총비서’의 자리는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3년 뒤인 1997년에 가서야 이를 차지하는 신중한 행보를 보였었다.

이에 반하여, 그의 아버지 김정일이 사망한 시점에서 김정은이 이미 차지하고 있는 권좌는 ‘조선노동당 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불과하다. 그는 김정일이 뇌졸중으로 와병한 뒤인 2009년1월 국방위원회 근무를 시작하는 것으로 권좌의 사다리를 오르기 시작했으며 다음 해인 2010년9월27일 ‘인민군 대장’으로 임명되고 이틀 뒤인 28일 ‘조선노동당 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및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는데 그쳐 있다.

그는 2009년10월10일 당 창건 65주년 열병식 주석단 일원으로 공식 석상에 처음 모습을 보인 것을 시작으로 그 뒤에는 각종 공식 행사와 현지 지도 때마다 김정일의 붙박이 수행원의 하나가 되었다. 그는 결국 김정일과는 달리 ‘조선노동당 총비서’-‘국방위원회 위원장’-‘인민군 총사령관’의 최정상 권좌 가운데 어느 하나도 차지하지 못 한 상태에서 북한의 제3대 세습 독재자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은 앞으로 그가 북한의 절대적 독재자로 군림하기 위해서는 아직 차지하지 못 하고 있는 권좌의 자리들을 차지해야 하는 대장정(大長征)이 그의 앞을 가로막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자리들은, 김정일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하나하나 매우 신중하게 시간과 공을 들여서 차지한 자리들이다. 더구나, ‘조선노동당’이 국가 위에 군림하는 스탈린 체제의 북한에서 당연히 권좌 중의 권좌인 ‘조선노동당 총비서’의 자리는 김정일의 경우 전임자였던 김일성이 사망한 뒤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뜸을 들였던 자리라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김정일의 사망 후 “선군사상(先軍思想)과 사회주의의 고수”를 다짐하면서 “김정은 동지의 영도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개척하시고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승리에로 이끌어 오신 주체의 혁명위업을 대를 이어 빛나게 계승 완성해 나갈 수 있는 결정적 담보”라고 주장했다. 이는 김정일 사후의 북한이 김정은을 정점으로 하는 ‘수령독재 체제’를 고수하겠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앞으로 김정일을 승계할 김정은의 후계 권력체제가 구축을 완료하는 시점이 그가 문제의 3대 권좌를 직접 차지하는 시점과 일치할 것임을 말해 준다.

결국, 김정은이 이 3대 권좌를 직접 꿰차는데 성공할 것이냐의 여부가 김정은 후계체제의 연착륙(軟着陸) 여부를 좌우하게 되었고 또 연착륙에 성공하더라도 이를 위해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냐가 앞으로 북한의 미래를 결정하게 되었다. 여기서 예상되는 중요한 사실이 있다. 그것은 약관 27세의 김정은이 실전(實戰) 경험이 없는 신출내기 아마추어라는 사실이 앞으로 전개될 후계체제 구축기간을 통해 김정은과 그의 후견세력(後見勢力)들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또 발전될 것이냐를 결정하고 그 결과 김정은의 후계체제 구축을 연착륙으로 유도하거나 아니면 경우에 따라서는 경착륙(硬着陸)을 강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것이다.

후계체제 구축기간 중 김정은은 불가피하게 후견인(後見人)들의 섭정(攝政)을 수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시점에서 시야(視野)에 떠오르고 있는 김정은의 후견인 가운데는 그의 고모부(姑母夫)이자 당 ‘행정부장’으로 북한의 모든 보안-공안기관을 장악할 뿐 아니라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인 장성택(張成澤)과 그의 처(妻)이자 김정은의 고모로 내각의 경공업부장인 김경희(金敬姬)가 있다.

많은 북한 관측통들은 김정은이 앞으로 북한의 권좌들을 차지하기 까지 당분간 그가 부위원장으로 있는 당 ‘군사위원회’를 발판으로 삼아 군을 장악함으로써 북한을 이끌어가려고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 군사위원회에는 리영호 북한군 총참모장, 김정각 인민군 총정치작전국장, 김경옥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최룡해 당 비서, 핵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주규창 당 기계공업부장, 김영철 정찰총국장 등이 포진하고 있다.

이들 후견인들이 과연 장성택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결속할 것인지의 여부는 지금의 시점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다. 우선 이들 후견세력은 김정은이 준비되는 정도에 따라서 그가 권력구조 최정상의 권좌를 차지하는 시기를 결정하려 할 것이며 그 동안은 주요 정책 현안의 처리에 관하여 김정은을 보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많은 변수(變數)가 잠재한다. 김정은과 그의 후견세력 간에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김정은이 김정일과 같은 절대적 독재자의 자리를 차지하는 시기는 물론이고 과연 김정은에게 김정일이 누렸던 절대적 권력의 전부를 부여할 것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견(異見)이 조성될 소지가 없지 않다.

김정은이 이 핵심 문제에 관한 결정권을 자신이 행사하려 할 것인지 아니면 후견인들의 선택에 추종할 것인지의 여부는 앞으로 최대의 관심사다.

후견인들의 섭정이 지속되는 동안 그들과 김정은 사이에 불편한 관계가 싹틀 가능성도 있다. 후견세력과 김정은 사이에는 앞으로 김정은이 절대 권력을 장악한 뒤 양자 간에 어떠한 내용으로 권력배분이 이루어질 것인지에 관해서도 이해차이가 대두될 소지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당-군-정의 후견세력 내부에서의 이해타산(利害打算)에 입각한 이합집산(離合集散)과 주류와 비주류 사이의 알력(軋轢) 가능성이 없지 않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김정은 자신이 이 같은 소용돌이에 편승하여 이를 이용하려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구나, 이번에 전개되는 김정일의 권력세습의 과정은 내용적으로 김정일 때와 본질적인 차이가 드러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김정일은 김일성의 정처(正妻)의 장남으로 봉건왕조에서 권력세습의 정통성 부여 덕목의 하나인 ‘적자(嫡子)’와 ‘장자적통(長子嫡統)’의 원칙을 충족시켰을 뿐 아니라, 비록 ‘백두산 밀영(密營)’이라는 조작된 신화(神話)를 차용(借用)한 것이기는 하지만, 왜정(倭政) 때의 항일 (抗日) 무장독립운동과 연결시키는 북한판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인 ‘혁명전통(革命傳統)’의 조작을 통하여 권력세습의 정통성을 조작하기까지 했었다.

이에 반하여, 김정은은 김정일의 ‘기쁨조’ 출신 소실(小室)의 몸에서 태어난 ‘곁가지’의 한 사람이라는 태생적 약점의 소유자일뿐더러 그에게는 그의 우상화를 뒷받침할 만한 아무런 경력 상의 실적도 없다.

이 같은 차이가 앞으로 후계자로서의 김정은의 위상을 굳히는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지금 북한에는 김정은과 태생 상의 공통성을 공유할 뿐 아니라 그보다 연상(年上)의 ‘곁가지’들이 버티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김정일의 ‘곁가지’로는 이미 작고한 그의 첫 여인 성혜림의 소생인 40세의 맏아들 김정남(金正男)이 중국 땅 마카오에서 사실상 중국 정부의 비호 하에 여러 해째 객지 생활을 이어 오고 있고 김정은과 동복(同腹) 형인 30세의 김정철이 평양에 거주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일성의 후처(後妻)인 김성애의 몸에서 태어난 김정은의 삼촌 김평일(57세)은 1988년 불가리아 대사로 나간 뒤 핀란드 대사를 거쳐 1988년부터는 폴란드 대사로 끝없이 해외를 전전(輾轉)하는 오딧세이 행각을 이어 오고 있는 중이다.

북한은 12월19일 발표한 232명의 ‘국가장의위원’ 명단에 김정일의 누이인 김경희(14위)와 그녀의 남편 장성택(19위)를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김정은의 가족들을 철저히 배제함으로써 앞으로 김정은의 후계자 구축 과정에서 다른 ‘곁가지’들을 철저하게 왕따시킬 것임을 분명하게 해 주었다. 그러나 김정은 자신이 ‘곁가지’의 한 사람일 뿐 아니라 그의 후계자 지명이 봉건왕조의 관행인 ‘적자’와 ‘장자승통’의 원칙을 파괴한 것이라는 사실은 앞으로 김정은과 그의 후견세력을 비롯한 북한의 권력주체들과의 관계에 이상이 생겨서 김정은의 후계자 구축 작업에 예상치 못 했던 중대한 차질이 발생할 이들 다른 ‘곁가지’들 중의 어느 한 사람이 ‘김가 왕조’ 세습 후계자의 대안(代案)으로 부상(浮上)할 가능성을 완전하게 배제할 수 없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김정은의 후계자 추대 작업이 다른 요인에 의해서 파국(破局)을 맞게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 가운데 특히 주목을 요하는 관찰 대상은 오는 29일까지의 장의 기간이 지나간 후 김정은이 이끄는 새로운 북한의 권력체제가 당면한 식량난 해결을 비롯하여 경제난국 수습에 성공할 것이냐의 여부와 2012년을 “강성대국(强盛大國)의 해”로 선포해 놓고 있는 북한이 내년에 어떠한 대차대조표(貸借對照表)를 내놓게 될 것이냐는 것이다. 만약 북한의 새 지도부가 이 같은 경제난 타개에 실패하여 경제난국이 더욱 심화된 상태에서 내년에 ‘강성대국’ 공약마저 공포탄(空砲彈)이 되어 버림으로써 주민들의 불만과 불평이 폭발하는 일이 발생할 경우 김정은 체제가 이를 과연 감당할 수 있을 것이냐는 의문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김정일은 만년(晩年)에 이 같은 위험을 감지(感知)한 나머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필사적인 대중(對中) 정상외교를 수행했다. 특히 김정일은 2004년부터 작년까지 무려 다섯 차례나 중국을 방문하여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및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상대의 정상외교를 통해 그의 사후(死後) 북한의 권력승계 기간 중 북한의 체제안정을 담보할 특단의 경제원조를 간청했지만 이에 대한 중국의 수락을 확보하는데 실패했었다. 중국이 수락하지 않은 원인은 북한이 ① 중국식 개혁-개방의 수용, ② 핵문제에 관한 국제사회와의 타협, ③ 대남 도발의 자제 등 중국측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김정일이 사망하자 중국은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 국무원 및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공동 명의의 조전(弔電)을 통하여 “김정은 체제 수용과 지지” 입장을 천명하고 후진타오 주석과 함께 내년에 후 주석에 이어 국가주석에 취임할 예정인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베이징의 주중(駐中) 북한대사관으로 직접 찾아가 김정일의 죽음을 조문(弔問)하는 등 발 빠른 행보로 김정은이 이끄는 북한의 새 권력체제와의 밀월(蜜月)을 과시했다.

그러나, 이 같은 중국의 움직임은 중국이 김정일 이후의 북한에 대한 중국의 기득권(旣得權)을 확인함으로써 북한의 불안정을 틈타 제3국이 그 같은 중국의 기득권을 침해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한 방어적 행보로 보는 것이 옳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앞으로 북한이 경제난에 대처하기 위한 대규모 특별지원을 중국으로부터 확보할 수 있을 것이냐의 여부는 김정은이 생전에 김정일이 수용하지 못했던 후진타오의 3개 요구조건을 수용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기반이 취약한 김정은 체제가 체제안보를 위태롭게 할 소지를 안고 있는 중국식 개혁-개방 요구를 수용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앞으로 북한과 중국 간의 관계가 중국이 북한의 경제를 책임져 줄 수 있을 정도의 관계로 격상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비록 김정일의 장례 절차와 김정은의 후계체제 구축 작업 과정이 일단 표면적으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김정은을 정점으로 하는 ‘수령 독재체제’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서는 많은 불안 요인이 여전히 살아 있다. 그로 인하여 북한의 앞날에는 예단(豫斷)을 허용하지 않는 짙은 암운(暗雲)이 드리워져 있다. 결국, 이번 김정일의 죽음은 한반도에서 조만간 북한의 급변사태(急變事態) 전개를 통해 분단된 한반도를 60년 이상 지배해 온 냉전체제(冷戰體制)가 근원적으로 해체될 수 있는 일대 전환(轉換)의 시점을 크게 앞당겨 질 가능성을 크게 키워준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이동복<15대 국회의원, 전 남북회담 대표>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