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파인더 윤호 기자] 인도가 175개국을 상대로 한 ‘부정부패 지수’ 평가에서 10계단 상승한 85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20계단 곤두박질 친 100위를 기록했다. 

‘국제투명성협회(Transparency International)’ 연례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가 18년 만에 처음으로 ‘부정부패지표’에 대한 평가에서 중국을 앞질렀다. 이같은 결과는 인도가 ‘자국 내에 만연되어 있는 부정부패에 대해 국제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는 절실한 요구에 부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베를린 소재의 ‘감시감찰조사’ 단체에 의해 진행됐다. 이 단체는 다국적 은행, 대규모 재단, 국제 협회 등을 통해 순위를 집계하며, 각 국가들의 부패수준을 가늠하는 ‘부패 인지 지표’를 발표한다. 
 
인도에 대한 상승평가 요인으로 ‘사회에 만연한 부패에 대항하여 최대 민주적 거리 시위 및 국가 선거’에 초점을 맞췄던 것에 대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인도 국민들은 ‘뇌물 수수’에 대한 엄격한 법률 시행을 요구했고 이같은 요구는 인도 새정부와 새로운 법률에 의해서 관철됐다. 

‘나란드라 모디’ 인도 수상은 선거 공약에서 ‘부정 부패 척결’을 내세웠고, 이같은 공약이 인도 국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중국이 인도에게도 뒤지는 성적을 받았다. 중국의 부패지수가 급락한 데는 ‘뇌물수수 및 부정부패’에 대한 ‘시진핑’의 애매모호한 정책에서 비롯하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러면서 좀 더 명확한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발표로 인도가 만족할 수는 없어 보인다. 적어도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덴마크와 같이 ‘부정부패’ 지수를 낮추고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개혁을 계속 진행해야 할 것이다.   
 
혁신과 시민 사회의 참여의 목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에서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부정부패는 국가 최대의 도전과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아직도 인도 정치인들에 대한 부정부패의 지표는 다른 사회 전반과 비교하여 낮아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부정할 수 없다. 
 
한편, 이번 발표에 싱가포르는 7위로서 아시아에서 가장 낮은 부정부패 지수를 보였으며, 일본은 15위, 우리나라는 ‘라트비아’ ‘몰타’와 함께 43위에 머물렀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