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수지 기자] 부모 급여 등 각종 정책 효과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 가계소득이 2분기 연속 증가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 근로소득은 고용 호황에도 5분기 만에 감소로 전환했고, 사업소득은 5분기째 마이너스 행진이 이어졌다.

통계청은 29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은 502만4천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503만3천원)보다 3.9%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지난해 2분기 0.8% 감소한 뒤로 2개 분기 연속 증가했다.

소득 항목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316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1.5%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2021년 1.3% 감소한 뒤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전반적으로 고용 상황은 좋았지만 취업자 수 증가세가 전년에 비해 둔화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2022년 4분기 근로소득 증가 폭이 컸던 점에 대한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사업소득은 1.6% 늘어난 103만5천원이었다. 

이전소득은 67만1천원으로 17.7% 증가했다. 부모 급여 등 자녀양육 관련 지원금이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재산소득은 전년(3만5천원)보다 늘어난 5만2천원으로 집계됐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0.5% 늘었다.

실질 근로소득은 1.9% 줄며 2022년 3분기(-0.4%) 이후 5분 기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실질 사업소득은 1.7% 줄며 5분기째 마이너스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 작년 4분기는 공적이전 소득이 큰 폭 증가하면서 전체 명목소득 증가를 견인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5.1% 증가했다. 소비지출 증가율은 2022년 3분기 이후 1년 반째 소득증가율을 웃돌고 있다.

4분기에는 월세 지출 등 '실제 주거비'가 12.3% 늘면서 소비 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주거비가 포함된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9.5% 늘며 전분기(7.9%)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오락·문화(12.3%), 음식·숙박(4.3%), 가정용품·가사서비스(11.4%) 등도 지출이 늘었다.

반면 통신(-4.3%), 주류·담배(-2.8%) 등은 지출이 전년보다 감소했다.

세금·이전지출 등 비소비지출은 98만원으로 5.6% 늘었다.

소득세·부가가치세 등 경상조세가 0.5% 줄었고 이자비용(20.0%)·사회보험료(6.5%) 등은 늘었다. 이자비용은 고금리 영향으로 전분기(24.4%)에 이어 20%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5% 늘어난 404만4천원을 기록, 처음 400만원을 넘어섰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21만원으로 0.1% 늘었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9.9%였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인 평균소비성향은 70.1%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p) 상승했다.

이진석 과장은 "고금리 영향을 받은 이자비용 증가율은 둔화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79만2천원으로 전년보다 5.8% 증가했다. 오락·문화(18.9%), 음식·숙박(7.6%), 주거·수도·광열(9.2%) 등 대부분 항목에서 늘었다.

실질 소비지출은 전년보다 2.1% 늘었다.

실질 지출을 항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3.4%), 의류·신발(-4.2%), 가정용품·가사서비스(-3.5%) 등은 줄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