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수지 기자] 고령화 탓에 이동이 활발한 젊은 층이 감소하면서 이동자 수와 이동률이 약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전국 이동자 수(전입신고 기준)는 612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0.4%(2만3천명) 줄었다.

이동자 수는 2021년(-6.7%), 2022년(-14.7%)에 이어 3년째 전년 대비 줄고 있다. 특히 2022년에는 주택 시장 침체 영향으로 100만명이 넘게 감소한 바 있다.

이동자 수 규모는 1974년 529만8천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왔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0%로, 1972년(11.0%) 이후 51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통계청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저출산과 고령화 영향으로 20대 인구는 계속 줄고 고령 인구가 증가하다 보니 이동자 규모 자체도 감소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전국권 교통망이 좋아지면서 이사는 하지 않고 교통수단으로 오가는 영향도 있다.

연령대별 이동률 [통계청 자료 발췌]
연령대별 이동률 [통계청 자료 발췌]

실제 연령대별로 인구이동률을 살펴보면 20대(22.8%)와 30대(20.1%)에서 높고 60대 이상에서는 7% 이하로 낮다.

전년과 비교해도 60대(-0.4%p), 70대(-0.4%p), 80세 이상(-0.4%p) 순으로 감소했다.

30대(1.2%p), 10세 미만(1.2%p), 40대(0.2%p)에서는 늘었다.

20대 인구이동률은 전년보다는 0.3%p 줄면서 2021년부터 3년째 낮아지고 있다.

임 과장은 "직업 사유로 20대가 많이 감소했다. 주택에 의한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전체 인구이동 사유를 보면 주택(34.0%), 가족(24.1%), 직업(22.8%) 순이다. 총 이동사유의 80%가량을 차지한다. 다른 사유로는 교육(5.7%), 주거환경(5.1%) 등이 있다.

전년과 비교하면 직업 사유(-4만1천명)로 이동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곳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4만5천명), 인천(3만4천명), 충남(1만6천명) 등 5개 시도다.

반대로 서울(-3만1천명), 경남(-1만6천명), 부산(-1만1천명) 등 12개 시도에서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됐다.

서울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다.

작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 가운데 60.5%는 경기로 이동했다.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도 전출 1순위 지역이 경기였다.

대구와 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와 전남 등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시도 간의 전입·전출이 많았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4만7천명이 순유입됐다. 전년보다 순유입이 1만명 증가했다. 수도권에는 2017년(1만6천명)부터 7년째 인구가 순유입되고 있다.

월별로 지난해 12월 이동자 수는 51만1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8%(1만4천명) 증가했다.

작년 이동자 수는 상반기 3월을 제외하고 1월(-8.4%), 2월(-6.3%), 4월(-5.6%), 5월(-4.9%), 6월(-0.8%) 모두 줄었다.

하반기 들어 주택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7월(4.9%), 8월(3.8%)에 증가해 9월(-1.6%)에 잠시 줄었다가 10월(11.0%)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작년 12월 인구이동률은 11.8%로 전년 동월 대비 0.3%p 증가했다.

인천(4천233명), 경기(3천512명), 충남(1천426명) 등 5개 시도는 인구가 순유입됐다. 서울(-3천817명), 광주(-1천302명), 경남(-1천162명) 등 12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