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토론방

제목

음력 9월은 계추(季秋), 계추지월(季秋之月)이라 하며, 계추(季秋)는 늦가을의 의미입니다

닉네임
beercola
등록일
2016-10-04 08:59:29
조회수
13274
양력 2016년 10월 1일은, 음력으로 하면 9월 1일이 되어 이 때부터 양력 10월 30일까지,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하여 음력 9월이 됩니다. 음력 9월은 계추(季秋), 계추지월(季秋之月)이라 하며, 계추(季秋)는 늦가을의 의미입니다. 계(季)의 뜻에는 끝, 마지막 이라는 뜻이 있어, 마지막 가을이라는 의미입니다.



1. 유교 경전인 예기(禮記)의 월령(月令)에서는 음력(陰曆) 9월인 계추(季秋)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 다 음 -



季秋之月 日在房 昏虛中 旦柳中 其日庚辛 其帝少皥 其神蓐收 其蟲毛 其音商 律中無射 其數九 其味辛 其臭腥 其祀門 祭先肝



계추(季秋)의 달은 진(辰)이 방성(房星)에 있는데, 저녁에는 허성(虛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고, 아침에는 유성(柳星)이 남방의 중앙에 있다. 그 날은 경신(庚辛)에 해당하고, 그 제는 소호, 그 신은 욕수, 그 동물은 짐승, 그 소리는 상조(商調), 그 율은 무사(無射)에 해당되며 그 수는 9, 그 맛은 매운 맛, 그 냄새는 닭기름 냄새이고 그 제사는 문의 신으로서 제사지낼때는 희생의 간을 먼저 바친다........................






是月也 霜始降 則百工休 乃命有司曰 寒氣總至 民力不堪 其皆入室 是月也 草木黃落 乃伐薪爲炭 蟄蟲咸俯在內 皆墐其戶

乃趣獄刑毋留有罪 收祿秩之不當 供養之不宜者



이 달에 서리가 비로소 내리면 백공(百工)이 휴식한다(한기로 아교나 옻 따위가 잘 굳지 않기 때문이다). 또 유사에게 명하기를 "한기가 모여서 이르니 백성의 힘이 이를 감당하지 못하므로 모두 헛가리를 떠나서 집안에 들어가도록 하라"고 한다. 그리고 이 달에 초목의 잎사귀가 누렇게 되어 떨어지므로 나무를 베고 숯을 만들게 한다(겨울 추위의 방비를 하는 것이다). 칩충(蟄蟲)이 고개를 수그리고 구멍속으로 들어가 추위의 침입을 막는 때이므로, 형옥(刑獄)의 관을 독촉하여 유죄자를 남기지 않으며(겨울철로 돌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녹질이 부당한 자, 공양이 마땅하지 않은 자를 찾아서 각기 그 지위에 알맞도록 한다.




.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발행



2. 음력 9월의 중요한 전통 절일(節日)로는 중양절(重陽節)이 대표적입니다.



1). 중양절[重陽節]에 대한 솔출판사 홍루몽의 서술.



중양절[重陽節]



.요약

절기 이름











해와 달의 기운 가운데 양(陽)의 기운이 최고조에 달한 음력 9월 9일을 가리키며 '노인절(老人節)' 또는 '중구(重九)'라고도 부른다. 이 명절은 이미 전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정식 명절이 된 것은 당나라 때부터이다. 이 날은 온 가족이 모여서 '답추(踏秋)'라고 부르는 나들이를 나가서 조상의 무덤에 성묘를 하고, 재난을 피하는 의식으로 옷이나 머리에 수유(茱萸)를 꽂고 높은 곳에 오르거나 국화를 감상하는 등의 풍속이 있다. 또 지역에 따라 갖가지 특색 있는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 출처:중양절[重陽節] (홍루몽: 인명, 용어사전, 솔출판사)





2). 베이징 관광국의 중양절 소개



충양제 (重阳节,중양절)


충양제(重阳节,Chóngyáng jiē,중양절) 소개



중국의 음력으로 9월 9일은 중국 민간의 중요한 전통명절인 중양절(重陽節)이다. 해마다 이날이면 사람들은 노인을 부축하고 어린이를 데리고 국화를 감상하고 등산하며 수유(茱萸)<수유는 향기있는 약용식물임>를 머리에 꽂고 대추, 밤 따위를 겉에 박은 떡을 먹는다.

중양절의 이름은 옛 사람들이 9는 <홀수>이나 9월9일은 짝수 다시말하면 홀수가 겹치는 날이라는데서 유래됐다....



http://visitbeijing.or.kr/detail.php?number=699




3). 网络孔子学院의 중양절 설명.



. 필자 주 1). 网络이란 원래의미는 그물처럼 생긴것, 또는 (그물형태의) 조직, 망,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쓰인 网络孔子学院은 온라인 공자학원(孔子学院)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대략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九九话重阳

9월 9일 중양절



음력 9월 9일은 중국의 중양절(重陽節)이다. <역경(易經)>에서는 ‘6’을 음수로 정했고, ‘9’를 양수로 정했다. 9월 9일은 달과 일이 모두 양수로 두개의 9가 서로 중첩되었기 때문에 중양(重陽)이라 부르고, 중구(重九)라고도 부른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이 날을 경축할 만한 길한 날로 여겨서 아주 오래 전부터 이 날을 명절로 지내기 시작하였다.



중양절을 경축하는 행사는 아주 다채롭고 낭만적이다. 보통 야외에서 경치를 감상하고 높은 곳에 오르며 국화를 감상하고 수유를 차고 중양떡과 국화주를 먹는 행사가 있다.



현재의 중양절은 새로운 뜻이 부여되었다. 1989년 중국은 매년 음력 9월 9일을 ‘노인절’로 정하였다. 전통과 현대를 교묘하게 결합시켜 노인을 존경하고 공경하며 사랑하고 돕는 노인들의 명절로 만들었다...............



http://www.chinesecio.com/cms/ko/culture/jungyangjeol-zhong-yang-jie




4). 중양(重陽)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설명.

중양(重陽)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


내용


‘중구(重九)’라고도 한다. 중양은 양이 겹쳤다는 뜻이니 양수인 홀수가 겹친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도 다 중양이 될 수 있겠으나, 중양이라고 하면 중구를 가리킨다. 중구는 음양 철학적인 중일명절(重日名節)의 한 대표적인 명절이었다.

중국에서는 한대(漢代) 이래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상국(賞菊)·등고(登高)·시주(詩酒)로 즐겨 온 날이었다. 당송 대(唐宋代)에도 관리들의 휴가일로서 추석보다도 훨씬 성대한 명절이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신라시대부터 안압지의 임해전(臨海殿)이나 월상루(月上樓)에서 군신이 중구에 연례적으로 모여서 시가를 즐긴 듯하다.

고려시대에는 중구의 향연이 국가적으로 정해져 있는 규례이다. 내외신하들과 송나라·탐라(耽羅)·흑수(黑水)의 외객들까지 그 축하연에 참석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다시 세종 때에 중삼·중구를 명절로 공인하고, 성종 때에는 추석에 지내던 기로연(耆老宴 : 노인 잔치)도 중구로 바꾸어서 지내었다.

또한, 성균관유생들에게 시험을 보이던 절일제(節日製)도 인일(人日 : 1월 7일)·중삼·칠석·중구에 보였다. 여기에서 특히 추석에 지내던 기로연을 중구로 바꾸었다는 사례는 상징적이다. 그만큼 관(官)과 상층에서는 음양 철학적인 경향을 많이 띠었고, 그것은 보름명절[望日名節]보다 중일명절을 크게 쳤다는 것에서 선명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일반농어민사회에서는 어디까지나 추석·백중(百中 : 7월 15일)·대보름(1월 15일) 등 보름명절이 훨씬 성대하였다. 더구나 중구 때는 벼수확과, 목화따기 및 콩·팥·조·수수·깨·고구마·감자에 무·배추 등 김장채소 거두기까지도 겹치는 농번기였으므로 명절로 즐길 겨를이 없는 때였다.

그래서 최남선(崔南善)도 “중구는 어디까지든지 궁정(宮廷) 또는 선비들 같은 특수계급의 절일에 친 것이얏다.”고 못박고 있다. 중구가 단풍이 곱게 물들고, 등고와 상국에 알맞은 계절임은 분명하여 지금도 이 무렵에는 단풍구경꾼이 매우 많다. 그러나 중구의 명절의식은 지금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 출처: 중양[重陽]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 중양절에 대한 한국 세시풍속사전의 설명.



중양절[重陽節]


정의


음력 9월 9일을 가리키는 날로 날짜와 달의 숫자가 같은 중일(重日) 명절(名節)의 하나. 중일 명절은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 같이 홀수 곧 양수(陽數)가 겹치는 날에만 해당하므로 이날들이 모두 중양(重陽)이지만 특히 9월 9일을 가리켜 중양이라고 하며 중구(重九)라고도 한다. 또 ‘귈’이라고 부르는 지방도 있다. 음력 삼월 삼짇날 강남에서 온 제비가 이때 다시 돌아간다고 한다. 가을 하늘 높이 떠나가는 철새를 보며 한해의 수확을 마무리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유래


중양절은 중국에서 유래한 명절로, 그곳에서도 매년 음력 9월 9일에 행하는 한족의 전통 절일이다. 중양절은 중국에서는 한나라 이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당송(唐宋) 대에는 추석보다 더 큰 명절로 지켜졌다.
등고회(登高會)는 중양절의 중요한 행사인데 이날 우산(牛山)에 올라 눈물을 흘렸다는 제나라 경공(景公)에 대한 기록을 근거로 중국에서는 이미 전국시대부터 행해졌다고 주장한다. 또한 내려오는 전설에 동한(東漢) 때 앞날을 잘 맞추는 비장방(費長房)이라는 도인(道人)이 어느 날 학생인 항경[恒景, 桓景]에게 “자네 집은 9월 9일에 큰 난리를 만나게 될 터이니 집으로 돌아가 집사람들과 함께 수유(茱萸)를 담은 배낭을 메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를 마시면 재난을 면할 수 있네.”라고 하였다. 항경이 이날 그가 시킨 대로 가족을 데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집에 돌아오자 집에서 키우는 가축들이 모두 죽어 있었다고 한다. 중양절에 수유 주머니를 차고 국화주를 마시며 높은 산에 올라가는 등고 풍속은 이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수유 주머니를 차는 것은 나쁜 기운을 제거하기 위해서이고, 국화주를 마시는 것은 노화 현상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기능적인 해석도 있다.


내용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이래로 군신들의 연례 모임이 이날 행해졌으며, 특히 고려 때는 국가적인 향연이 벌어지기도 했다. 조선 세종 때에는 중삼 곧 3월 3일과 중구를 명절로 공인하고 중구를 무척 중요하게 여겨 늙은 대신들을 위한 잔치인 기로연(耆老宴)을 추석에서 중구로 옮겼으며, 또 중양절에 특별히 과거시험을 실시하여 이날을 기리기도 하였다.

중양절에는 여러 가지 행사가 벌어지는데, 국가에서는 고려 이래로 정조(正朝), 단오(端午), 추석(秋夕)과 함께 임금이 참석하는 제사를 올렸고, 사가(私家)에서도 제사를 지내거나 성묘(省墓)를 하였다. 또 양(陽)이 가득한 날이라고 하여 수유 주머니를 차고 국화주를 마시며 높은 산에 올라가 모자를 떨어뜨리는 등고의 풍속이 있었고 국화를 감상하는 상국(賞菊), 장수(長壽)에 좋다는 국화주를 마시거나 혹은 술잔에 국화를 띄우는 범국(泛菊) 또는 황화범주(黃花泛酒), 시를 짓고 술을 나누는 시주(詩酒)의 행사를 가졌다. 서울 사람들은 이날 남산과 북악에 올라가 음식을 먹으면서 재미있게 놀았다고 하는데, 이것도 등고하는 풍습을 따른 것이다.

중양절에는 이와 같이 제사, 성묘, 등고 또는 각종 모임이 있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관리들에게 하루의 휴가를 허락하였다. 그래서 관리들이 자리에 없기도 하였지만 또한 명절이었으므로 이날은 형(刑) 집행을 금하는 금형(禁刑)의 날이기도 하였다.

한편 중양절은 농촌이 한창 바빠지는 때이기도 하다. 남자들은 그해 논농사를 결산하는 추수를 하고, 여자들은 마늘을 심거나 고구마를 수확한다. 퇴비만들기, 논물 빼기, 논 피사리 등은 남녀 공동작업이다. 지방에 따라서는 목화도 따야 하고, 또 콩, 팥, 조, 수수, 무, 배추 같은 밭작물의 파종과 수확이 겹친다. 그러므로 농촌에서는 중양절이라고 하여 특별한 행사를 벌이기보다는 평상 때와 똑같이 보내는 곳이 더 많다. 그러나 양수가 겹친 길일(吉日)이므로 여유가 있는 계층에서는 이날을 즐겼다. 등고 풍속이 그러하고 국화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반죽하여 국화전을 만들어 먹는 것도 그 예가 된다.

추석 때 햇곡식으로 제사를 올리지 못한 집안에서는 뒤늦게 조상에게 천신(薦新)을 한다. 떡을 하고 집안의 으뜸신인 성주신에게 밥을 올려 차례를 지내는 곳도 있다. 전남 고흥의 한 지역에서는 이때 시제(時祭)를 지내는데, 이를 ‘귈제’라고 한다.

과거에는 각 마을마다 또는 두세 개 마을에 한 명씩 동네 단골무당이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연말에 이장에게 이세(里稅)를 내듯이 중양절이 되면 이들에게 시주를 하는데, 이것을 하지 않으면 다음에 탈이 있을 때 단골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한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중양절이 되면 나라에서 태학(太學)의 학생들에게 겨울옷을 하사하는 의식이 있었다. 중양절 무렵이 겨울을 준비하는 적절한 때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중구절의 국화술은 중국의 시인인 도연명(陶淵明)과도 관련이 있다. 그가 이날 국화밭에 무료하게 앉아 있는데 흰옷을 정갈하게 입은 손님이 찾아왔다. 그는 도연명의 친구가 보낸 술을 가지고 온 것이다. 연명은 국화꽃과 함께 온종일 취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고려 말의 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도 중양절에 술을 마시며 도연명의 운치를 깨달았는지 “우연히 울 밑의 국화를 대하니 낯이 붉어지네. 진짜 국화가 가짜 연명을 쏘아보는구나.”라는 글귀를 남겼다. 두목(杜牧)이 남긴 취미(翠微)의 시구에도 이날 좋은 안주와 술을 마련해놓고 친구들을 불러서 실솔시(蟋蟀詩)를 노래하고 무황계(無荒戒)를 익혔다고 한다.


의례


『고려사(高麗史)』에는 이날 중구연(重九宴) 또는 중양연(重陽宴)을 열었다는 기사가 있다. 국가가 규례를 정하여 내외의 신하들과 송나라, 탐라(耽羅), 흑수(黑水)의 외객들까지 축하연에 초대하였다. 조선에 들어와서도 임금이 사신(使臣)들에게 특별히 주연을 베풀었다. 또 탁주(濁酒)와 풍악을 기로(耆老)와 재추(宰樞)에게 내리고 보제원(普濟院)에 모여서 연회하게 하였다.

선조(宣祖) 때 예조에서 제향 절차에 대해 아뢰면서 중양이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속절(俗節)로 열거되어 있지 않지만, 이날 시식(時食)으로써 천신하는 것이 고례(古禮)이므로 속절에 해당하는 제사가 행해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언적(李彦迪)은 『봉선잡의(奉先雜儀)』에서 정조, 한식, 단오, 중추와 함께 중양을 속절로 여겨 아침 일찍 사당에 들러 천식(薦食)하고 이어 묘 앞에서 전배(奠拜)한다고 하였다. 이문건(李文楗)의 『묵재일기(黙齋日記)』를 보면 조선 중기까지 사가(私家)에서는 중양절은 등고 외에 간혹 간단한 천주과지례(薦酒果之禮) 곧 천신례가 있을 뿐 묘제를 행하는 한식에 비하면 속절로서 크게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러나 후기에 들어와 삼짇날과 중양일이 함께 또는 둘 중의 하나가 원래 중월(仲月)에 복일(卜日)하여 행하던 사시제(四時祭)의 한 축으로 설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는 조선 전기까지는 시제(時祭)보다 기제(忌祭)를 중요하게 여기다가 중엽에 이르러 사대부들이 시제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는데, 일년 4회의 시제가 부담되었으므로 이를 춘추(春秋) 2회로 줄여 봄에는 삼짇날에, 가을에는 중양절에 지내는 자가 많아졌다고 하였다.

중양절의 시제는 조선 후기 이후 특히 영남지방에서 부조묘(不祧廟)를 모신 집안들을 중심으로 행해져 왔다. 유교 제례에서는 사대봉사(四代奉祀)라고 하여 4대가 지나면 사당에 모시던 신주를 묘에 묻게 되어 있으며, 나라에서 부조(不祧), 즉 묘를 옮기지 않아도 된다는 허락이 있어야 사당에 신주를 두고 계속 기제사로 모실 수 있다. 이 부조가 인정된 조상에 대한 시제는 각별히 중일을 택하여 삼월 삼짇날이나 구월 중양절에 제사를 지내는데, 특히 중양 때가 되어야 햇곡을 마련할 수 있었으므로 첫 수확물을 조상에게 드린다는 의미도 지닌다. 영남지방에는 중양절에 불천위제사를 지내거나 성묘를 하는 집안들이 간혹 있지만 날이 갈수록 더 귀해지고 있다.


절식


중양절은 국화가 만발할 때이므로 국화주, 국화전을 만들어 먹는다. 국화주는 꽃을 따서 술 한 말에 꽃 두 되 꼴로 베주머니에 넣어 술독에 담아 뚜껑을 덮어둔다. 약주에 국화꽃을 띄워 국화주를 즐길 수도 있다. 화전, 화채, 술에 모두 쓰이는 국화는 재래종인 감국(甘鞠)이어야 향기도 좋고 오랫동안 싱싱하다.

국화전은 노란 국화꽃잎을 따서 국화 찹쌀떡을 만드는데, 그 방법은 삼월 삼짇날의 진달래떡을 만드는 방법과 같으며, 이름도 화전(花煎)이라고 한다. 봄의 진달래 화전은 율무를 많이 쓰는 반면 가을의 국화전은 찹쌀가루를 많이 쓴다. 중국 양나라 사람 오균(吳均)이 지은 『서경잡기(西京雜記)』에 “한나라 무제(武帝) 때 궁녀 가패란(賈佩蘭)이 9일에 이(餌) 떡을 먹었다.”라고 했는데, 이(餌)란 경단[餻]을 말하는 것이다. 송나라 사람 맹원로(孟元老)의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에는 “도시 사람들이 중구(重九)에 가루로 떡을 쪄서 서로 선물한다.”라고 했다. 잘게 썬 배와 유자(柚子)와 석류(石榴)와 잣 등을 꿀물에 탄 것을 화채(花菜)라고 하는데, 이것들도 모두 중양절 음식으로 제사에 쓴다.


의의


추석이 햇곡으로 제사 지내기 이른 계절이 되어감에 따라 추수가 마무리되는 중양절에 중구차례를 지내는 등 논농사의 발전에 따라 조상을 위하는 날의 의미를 더해갔다. 조선시대에 이날 기로연을 베풀었다는 사실은 장수에 좋다는 국화주를 마시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가에서는 물론 민간에서도 이날을 경로(敬老)의 날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중양절[重陽節]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3. 필자의견


1). 중양절이 현재 기준으로, 시중의 일반인들에게는 흔하고 보편적인 절일(節日)이 아니고, 과거에도 궁중이나 사대부의 절일이었다고 보는 견해도 맞습니다. 양반계급 아닌 일반인들에게는 농사철의 바쁜시기라 그렇게 시중의 의견으로 설명할수도 있습니다(...임금이 참석하는 제사를 올렸고, 사가(私家)에서도 제사를 지내거나 성묘(省墓)를 하였다). 그러나, 현대처럼 국민들이 농사일에만 종사하는 형태가 아닌 상황에서는, 등고일 비슷하게 단풍놀이나, 산에 오르기, 국화주 마시기, 국화잎으로 국화전부치기, 국화떡먹기(또는 중양절 떡 먹기)중 하나라도 선택하여 절일을 보내기가 그리 어려운 세시풍속은 아닐것입니다. 왜냐하면, 网络孔子学院의 중양절 설명에 나오는 중양떡이 다음과 같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다 음 -


....현재의 중양떡은 여전히 고정된 품목이 없이 각 지역마다 중양절에 먹는 부드러운 떡을 모두 중양떡이라 부르고 있다....


2). 특이한 사항으로 한국 세시풍속사전이 설명하는 내용을 되짚어 보겠습니다.


...........


추석 때 햇곡식으로 제사를 올리지 못한 집안에서는 뒤늦게 조상에게 천신(薦新)을 한다. 떡을 하고 집안의 으뜸신인 성주신에게 밥을 올려 차례를 지내는 곳도 있다. 전남 고흥의 한 지역에서는 이때 시제(時祭)를 지내는데, 이를 ‘귈제’라고 한다.

과거에는 각 마을마다 또는 두세 개 마을에 한 명씩 동네 단골무당이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연말에 이장에게 이세(里稅)를 내듯이 중양절이 되면 이들에게 시주를 하는데, 이것을 하지 않으면 다음에 탈이 있을 때 단골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한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중양절이 되면 나라에서 태학(太學)의 학생들에게 겨울옷을 하사하는 의식이 있었다. 중양절 무렵이 겨울을 준비하는 적절한 때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 필자 주 2). 필자가 보기에, 무당은 신분을 격하시켜서 그렇지 결국은 유교의 전통적인 한 부분집합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원유교의 신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에서 그 직업이 파생되어, 시대를 거치면서 격하되고, 정부.관과 격리되며, 여인들이나 일반인들의 종교적 소망을 해결해주면서, 현대적인 용어로는 샤머니즘의 주술사로 인식되기도 하는 무당으로 보고 있습니다. 필자는 파평윤씨의 오래된 전통 양반가문 출신입니다만, 사대부가문이 아닌경우, 무당에게 의뢰하지 않고, 가정이나 문중에서 세시풍속을 지내도 무난할것입니다.


. 필자 주 3). 무당에 대해서, 두산백과는 다음과 같이 조선초 궁중여인의 풍속, 관의 태도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조선 초에는 궁중 여인들이 별기은(別祈恩)이라 하여 국내 명산에 무녀를 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고, 관에서는 표면상으로는 무속을 금지하면서도 기우제·기양제(祈禳祭)에 무녀를 불러들여 제사를 집행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무당에 대한 인식은 민간신앙으로까지 깊이 뿌리내렸는데, 오늘날도 기우·기자(祈子)·안택.대감놀이등 기복무속과 질병퇴치기도·제액기도 등 재난을 쫓는 무속으로 남아 있다.


. 출처: 무당[巫─] (두산백과)


. 필자 주 4). 중양떡으로, 한국에서는 국화떡이 대표적인데, 网络孔子学院의 중양절 설명에 나오는 중양떡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양 떡은 또 꽃떡[花糕, 화가오], 국떡[菊糕, 쥐가오], 오색 떡[五色糕, 우서가오]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 제작방법이 비교적 자유로운 ‘조화떡(糙花糕, 차오화가오)’, ‘세화떡(細化糕, 시화가오)’ 그리고 ‘금전화떡(金錢花糕, 진첸화가오)’ 등이 있다. 그러나 비교적 격을 갖춘 중양떡은 9층으로 쌓아 보탑[寶塔] 처럼 만들어서 맨 위에다 작은 양 두 마리를 올려 놓아 중양(羊)의 뜻에 맞게 만들기도 한다. 현재의 중양떡은 여전히 고정된 품목이 없이 각 지역마다 중양절에 먹는 부드러운 떡을 모두 중양떡이라 부르고 있다....


. 필자 주 5). 중양절 떡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화떡도 좋지만, 팥떡, 콩떡, 수수쭈꾸미, 완두를 얹은듯한 백설기, 인절미 형태의 떡, 송편형태의 떡등 다양한 형태의 부드러운 떡들의 이미지가 있습니다.


- 다 음 -


https://www.google.co.kr/search?q=%EC%A4%91%EC%96%91%EC%A0%88+%EB%96%A1&newwindow=1&biw=1920&bih=950&tbm=isch&imgil=uO1aYWfQjwELXM%253A%253BCDcm1JN2d9zLSM%253Bhttp%25253A%25252F%25252Fkorean.dljzly.com%25252FExperience_in_Jinzhou_kr%25252FGolden_Pebble_Beach_National_Tourist_Resort_kr%25252F4513.shtml&source=iu&pf=m&fir=uO1aYWfQjwELXM%253A%252CCDcm1JN2d9zLSM%252C_&usg=__wI61PwkmekbhWKgTcOuqOfQW-bw%3D&ved=0ahUKEwjKxvnc5L_PAhUIGJQKHWnsBwAQyjcIMw&ei=g-nyV4r5DIiw0ATp2B8#imgrc=uO1aYWfQjwELXM%3A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한국과 세계의 유교와 명절들을 되돌아보고, 다방면으로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고 있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일:2016-10-04 08:59:29 61.43.67.3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게시물 댓글

비회원 로그인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