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임주영 기자) 국립생물자원관은 러시아 코마로프식물연구소로부터 구한말에 채집돼 수장고에 100∼130년간 보관하던 한반도산 관속식물 표본 100점을 기증받았다고 8일 밝혔다.

관속식물은 양치식물과 종자(겉씨·속씨)식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식물'을 말한다. 자원관은 이 연구소와 최근 공동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기증을 받았다.

표본들은 1886년부터 1902년 사이 조선에 머물던 러시아와 폴란드의 전문 채집가, 의사, 통역사들이 채집한 것이다. 서울과 인천 제물포에서 채집해 러시아로 옮겨졌다.

이들 표본은 제비꿀, 싱아, 도라지, 시호, 층층잔대 등이다. 과거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을 파악하고 생물종 분포 변화를 연구하는 자료로 가치가 높다.

표본 중 26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호텔인 '손탁호텔'의 지배인이었던 앙투아네트 손탁이 서울에서 채집했다. 채집 지역은 창덕궁, 탑동(현 낙원동), 진고개(현 충무로), 효창동 등이다. 지금은 서울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싱아 4점이 포함됐다.

싱아는 우리나라와 중국에 주로 서식하는 마디풀과 식물이다. 전국의 산기슭에 많다. 고 박완서 소설가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언급된 종이다.

표본 중 52점은 러시아의 식물학자인 분게의 아들인 알렉산더 알렉산드로비치 분게가 구한말 개항장으로 지정된 제물포에서 1888∼1889년 채집했다.

나머지 22점은 폴란드인 채집가 칼리노브스키 등이 비슷한 시기 인천과 서울에서 확보했다.

우리나라 자생생물은 19세기 초부터 외국인이 채집해 반출한 후 세계 유수의 박물관과 표본관에 소장됐다.

자원관은 2008년부터 최근까지 10개국 27개 기관이 소장한 한반도산 생물표본 3만8천점을 확인해 화상자료를 확보했다.

이미 반출된 표본을 국내로 반입하는 것은 국제 관례상 어렵다. 때문에 정부는 국외기관과 공동연구 등을 통해 기증을 유도하고 있다.

자원관은 그동안 일본, 헝가리 등의 박물관, 대학 등으로부터 4천820점의 한반도산 생물표본을 기증받았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