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파인더 박필선 기자] 이번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 도발에 대해 중국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혔다.

어제(21일) 오후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반도 긴장국면에 대해, “최근 발생한 사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그 어떤 긴장조성 행위에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이와 함께, "접촉과 대화를 통해 현재 사태를 적절히 처리하는 한편 긴장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있는 그 어떤 행동도 중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긴장 조성’과 ‘긴장을 끌어올리는’ 주체는 명확하게 지칭하지 않았다.

우다웨이 북핵 6자회담 중국 수석대표는 우리 측 6자 회담 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과 전화통화로 "현 상황에 대해 심각히 우려하고 있다"며 "건설적 역할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정부는 한반도의 긴장 상황이 '항일전쟁 승전 70주년' 열병식에 대형 악재가 될 수 있음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도 22일 사설을 통해,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면 "가장 큰 재난을 당하는 것은 바로 조선(북한)과 한국"이라며, 양측의 자제를 촉구했다.

사설은 “북한의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은 20일 밤 인민군에 전쟁준비를 지시하고 한국은 북한의 포격도발에 보복을 천명해 다소 안정적인 국면에 있었던 한반도가 다시 긴장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군사 관측통'을 인용, 북한이 이번에 최전선 지역에 선포한 '전시상태', '준전시상태'는 최고 수준의 전투태세로 보기는 어렵다며, "(북한은) 2013년에 '1호 전투근무태세'를 발령하고 미국 본토와 하와이, 괌 등의 미 태평양 기지, 한국과 한국 주변에 있는 목표물을 타격 범위로 설정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또, “(2013년) 당시 평양의 태도는 이번보다 강경했다"며 한반도의 긴장 상황은 "아직은 선회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남북한과의 개별적인 친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 정부가 남북한에 냉정과 자제를 촉구하며 '물밑 중재'에 나설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