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동아일보 사설란에 <민간 대북방송에 주파수 할당해야>라는 제목의 칼럼이 실렸다. 내용인즉슨, 자유북한방송을 비롯한 국내 민간 대북방송국들이 모두 외국의 전파와 자금을 임대하며 운영되어오고 있는 등, 국가의 지원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소외되어있다는 이야기다.


이는 전적으로 사실이다. 지난 18일, 본 방송국 홈페이지가 북한의 감시영역 안에 있다는 기사(“평양, 자유북한방송 사이트에 직접 접속”)가 유포된 뒤 대북매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또다시 잠시 급증한 듯 보이지만, 대체로 대북매체가 그 중요도에 비해 한국사회의 좌·우진영 모두에서 크게 부각되는 일이 없는 현실은 여전해 보인다.


대북매체가 남북평화를 저해하는 요인인가


여기에는 좌파진영의 구닥다리 사고방식이 아직도 큰 몫을 하고 있다. “대북방송이 남북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는 어느정도 대중적인 공감을 얻고 있는 듯한 논리이지만 사실은 대단히 잘못된 판단이다. 남북불화의 원인은 북한정권의 불합리성과 강경성에 있지, 주민들과의 열린 소통을 통해 문화적 동질화를 꾀하는 대북방송에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북한의 비이성적인 도발과 협박 앞에서 늘 따뜻한 자세로 당하기만을 강요하는 종북주의자들이야말로 한반도 긴장화의 주범들이다.


그런 점에서, 대북매체는 일차적으로 우파성향의 논조를 띠지만, 북한정권을 누구보다 진심어리게 규탄하며 북한 주민들의 인간다운 삶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그 어떤 좌파집단보다 진보적인 의식을 갖고 있다고 얘기할 수 있다. 어찌보면 그러한 진보성이야말로 대북매체가 대중적 관심을 얻지 못하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일 수도 있다. 가깝고도 멀게만 느껴지는 북한의 이야기를 계속 따라가기엔 남한사회는 너무 피곤하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대북매체 정치·경제적 자립, 국민적 차원에서 앞장서야


대북매체를 운영하는 주체는 대개 사회적 약소층인 탈북자들이며, 그러다보니 남한에서의 언론 및 경영환경에 적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본 방송국은 오랫동안 상업적 재원이 없는 상태였다가 올해 1월부터 인터넷 광고 운영이 처음 시작되었고, 열린북한방송·자유조선방송·북한개혁방송 등 타 매체들의 경우도 거의 기부금에 의존하여 영세적으로 운영되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 주민들과 직접 접촉하는 대북매체를 빼놓고서 우리 사회는 안보와 통일을 이야기할 수 없다.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 뿐 아니라 국민들의 자발적인 협력이 대북매체에는 가장 절실한 발전요소이며, 대북매체 또한 자체적인 제휴를 강화함으로서 한국 미디어계에서의 총체적인 위상을 높여가야 한다. 대북매체는 전세계에 유래가 없는 분단지역인 한반도라는 환경에서, 전세계에 유래가 없는 전위(前衛)적 형식의 미디어형식을 갖는다는 사실에서도 국민적·역사적 자부심을 가져볼만하다. 이제 더 큰 미래를 위해서라도 정치·경제적 기틀을 철저히 닦는 일에 범국민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