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파인더 정우현 기자] 1인 가구 500만 시대에 젊은층은 주거, 고령층은 소득에서 가장 큰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 김광석 산업연구실 선임연구원이 16일 내놓은 '싱글족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에 따르면, 2030세대 1인가구는 월세 의존도가 현저히 높고, 주거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1인가구는 2000년 226만 가구(전체가구 대비 15.6%)에서 2015년 전체인구의 26.5%에 달하는 506만 가구로 급증했다.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35년 1인가구가 전체인구의 34.3%인 763만 가구로 증가할 전망이다.

연령별로는 2015년 현재, 20대 16.9%, 30대 17.3%, 40대 14.5%, 50대 16.1%, 60대 34%로 집계됐다.

2030세대 1인가구는 전체의 34.2%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의 주택소유비중은 23.8%로 나타났다. 이는 2인 이상 가구 71.8%보다 크게 낮은 수치이며, 전체 1인가구 주택소유비중 52%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월세 임차료 지출도 다른연령대보다 큰 것으로 조사됐다. 1인가구로서 작은 평수를 선호하는 수요트렌드에 더해, 전세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셈이다.

한편, 단독 연령대로는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60대 1인가구는 수입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소비성향이 축소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2010~2014년 동안 20대와 30대의 평균 소비성향은 66.1%에서 73.6%로, 40대와 50대는 57.5%에서 64.7%로 평균 소비성향이 상승했지만, 60대 이상 1인가구는 90.5%에서 84.5%로 하락했다.

60대 이상 1인가구의 월 가처분소득은 84만원으로 소득 규모가 절대적으로 작아 자립성이 떨어지고 필수재적 품목 이외의 소비활동이 어려워 삶의 질 하락으로 연결된다는 분석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장기적으로 인구구조 뿐만 아니라 가구구조 변화에 부합하는 주택·복지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령층 1인가구의 근로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재취업 일자리 및 공공근로사업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