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900만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3년 뒤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천명이어서 사상 처음으로 9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전체 인구 중 17.5%가 고령자라는 의미다.

통계청은 3년 뒤인 2025년에 고령인구 비중이 20.6%까지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 연수는 7년으로 오스트리아 53년, 영국 50년, 미국 15년, 일본 10년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519만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24.1%다. 고령자 가구의 ⅓을 넘는 187만5천가구가 1인 가구다.

지난해 65세 이상 남자와 여자의 이혼은 각각 13.4%, 17.5% 증가했다. 재혼 역시 65세 이상에선 증가세가 감지됐다.

▲ (통계청 제공)

지난 10년간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견해는 38.3%에서 27.3%로 감소했다.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37.8%에서 49.9%로 높아졌다.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중은 65.0%였다.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는 56.7%였다. 43.3%는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부부가 공평하게 가사를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고령자는 45.1%였다. 지난 10년간 18.4%포인트나 오른 수치다.

특히 고령자의 50.9%는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고령자 가구 순자산은 4억1천48만원, 고용률은 34.9%였다.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소득 분배지표는 2016년 이후 개선되고 있으나 2019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고령자의 사망원인은 암과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알츠하이머병 순이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