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연 기자] 해마다 평균 300여건의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지만, 국내 식중독 사고 중 절반 수준은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선우(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에서 1천823건, 연평균 300건이 넘는 식중독 사건이 신고됐다. 

해당 기간 식중독 원인균이 파악된 사례는 993건(54%)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거나 원인균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다.

원인균 규명 비율이 저조한 것은 식중독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의심 식품에서 분리한 원인균을 비교해볼 수 있는 유전체 정보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최근 5년간 국내 식중독 사고 발생 건수 및 원인균 미확인 비율[강선우 의원실 제공]

의원실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확보된 유전체 정보가 67만여개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2천272개에 불과하다.

이에 식약처는 2017년부터 유전체 분석 장비를 도입해 국내 식중독 원인조사 및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식중독균 추적관리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이마져도 분석 장비 부족으로 현재 쌓여있는 미분석 균주 수만 1만1천288개에 달한다.

강선우 의원은 "대규모 집단 식중독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식중독 발생 시 신속·정확하게 원인균을 규명해내야 한다"면서 "국민의 생명·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인프라 확충을 통해 식중독균 추적관리사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