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저출산 영향이 심화하면서 만 18세 미만의 아이를 둔 가구가 전체 가구의 23% 수준까지 줄었다.

만 8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상용직 부모 중 육아휴직을 한 비율은 8.4%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아동이 거주하는 가구 특징을 비롯해 아동의 성장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아동가구 통계등록부'를 이달부터 통계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통계청은 만 18세 미만 아동과 관련한 19종의 행정자료를 연계해 통계등록부를 작성했다. 이번 등록부는 2015∼2019년 기준 아동 중심으로 동거인을 가려내고 출생 이후 발생한 가족 변화와 현재 양육 부모의 고용 상황 등을 반영했다.

등록부에 따르면 2019년 아동 가구(만 18세 미만 아동이 있는 가구)는 487만3천가구로, 전체 가구 2천88만1천가구의 23.3%였다.

전체 가구에서 아동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27.9%, 2016년 26.9%, 2017년 25.8%, 2018년 24.6%에서 2019년 23.3%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2019년 총 인구 5천177만9천명 중 아동 인구는 15.1%인 782만3천명으로, 아동 인구 비율 역시 2015년 17.2%, 2016년 16.8%, 2017년 16.2%, 2018년 15.6%에서 더 내려갔다.

2019년 아동 가구 중 50.8%는 아동이 1명이며, 아동 2명은 41.7%, 아동 3명은 6.9%, 아동 4명 이상은 0.6%였다.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외국인이거나 귀화자인 다문화 부모의 아동 수는 전체 아동의 3.0%(23만7천명)를 차지했다. 다문화 부모 아동 비율은 2015년 2.1%, 2016년 2.5%, 2017년 2.6%, 2018년 2.8%에서 더 늘었다.

부모가 함께 양육하는 아동은 687만5천명(87.9%), 부모 중 한 명만 같이 사는 아동은 61만2천명(7.8%)이었다. 부모와 살지 않고 친척과 함께 살거나 시설 등에 사는 아동은 33만7천명(4.3%)으로 집계됐다.

2015년과 2019년을 비교하면 양부모 양육 아동은 88.2%에서 87.9%로 줄었고, 한부모 양육 아동도 8.2%에서 7.8%로 감소했다. 부모 미양육 아동은 3.7%에서 4.3%로 늘었다.

2019년 한부모 아동의 경우 아버지가 양육하는 아동 비중은 34.8%, 어머니가 양육하는 아동 비중은 65.2%였다. 2015년에 비해 아버지 양육 아동은 2.4%포인트 줄었고 어머니 양육 아동은 2.4%포인트 늘었다.

양부모 아동 가구 중 부모가 맞벌이인 가구는 59.3%, 홑벌이인 가구는 37.7%였다.

2019년 만 8세 이하 자녀를 양육 중인 상용직 부모 중 육아휴직을 한 비율은 8.4%이며, 어머니 육아휴직이 18.5%, 아버지 육아휴직이 2.2%였다.

2010∼2019년 육아휴직을 사용한 부모의 누적 횟수를 보면 1회가 88.4%, 2회 11.4%, 3회 이상 0.2%였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어머니의 누적 휴직기간은 7∼12개월이 33.9%로 가장 많았으며, 25개월 이상이 29.6%, 1∼6개월이 15.6%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으로 육아휴직을 한 어머니의 재직 회사는 공무원 등 비영리기업이 24.8%로 가장 많고 대기업 24.1%, 중소기업 12.4%, 소상공인 6.2%였다.

한 부모 육아휴직 비율은 아버지가 2.0%, 어머니가 5.0%로 매우 낮았다. 

2019년 아동 거주 주택의 유형을 보면 아파트가 72.5%로 가장 많고 단독주택 13.7%, 연립·다세대 주택 등 기타가 13.7%였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