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00대 기업이 새해 첫달의 경기 실적을 2년 9개월만에 가장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과 미국의 재정위기 확산에 이어 중국 경제의 침체가 한국기업들의 수출길을 막을 것이란 우려와 더불어, 김정일 리스크 및 나빠진 기업 자금사정 등에 의한 판단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는 28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결과, 내년 1월 전망치 원지수는 올해 12월의 94.8에 비해 6.5p 하락한 88.3을 기록해 기준치 100을 3개월 연속 하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9년 4월 86.7을 기록한 이래 2년 9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대외적으로는 유럽발 재정위기의 확산과 선진국인 미국의 경기침체, 신흥국인 중국 성장 둔화 등이 가장 큰 악재로, 한국의 수출환경을 악화시킨다는 분석이다.

 

재정위기의 진원지 유럽의 경우 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이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재정위기로 인한 시장의 위험성을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직후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 20일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이탈리아 최대은행인 유니크레딧의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위기감은 한층 고조됐다. 피치는 미국에게도 내년 대선 이후 재정적자 감축에 합의하지 못하면 신용등급이 강등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국은 장기적인 성장추세 둔화와 함께 높은 물가상승률의 지속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 13일 중국의 금융연구소는 중국의 GDP성장률이 10%대에서 8%대로 낮아지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대에서 4%대로 올라가는 소위 ‘8+4’시대에 접어들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같은 글로벌 재정위기 및 경기둔화조짐으로 인해 국내기업들의 수출환경 악화도 우려된다. 실제로 전경련이 12월 30대그룹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년 수출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71%에 달했다.

 

대내적으로는 19일 북한 김정일의 사망소식이 알려지며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차 부각됐다.

 

김일성 사망당시인 1994년에는 글로벌 경기가 확장 국면으로 진입했지만 현재는 둔화국면에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김정은의 후계체제가 안정적으로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 내 권력구도의 문제가 불거질 경우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 전체 지역의 리스크로까지 확대될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같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중되며 기업들의 자금조달환경이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

 

 

전경련이 30대 그룹 대상 조사결과, 내년 자금사정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전체의 64%에 달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중되면 원달러 환율의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따라 원자재와 중간재를 수입해 제품을 수출하는 내수기업에게도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전망치를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89.2)과 서비스업(87.1) 모두 90선을 밑돌며 크게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세부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125.9), 펄프·종이·가구(113.3), 지식·오락서비스업(105.9) 등은 긍정적으로 전망된 반면, 의약품 제조업(66.7), 건설업(70.2), 운송업(76.7) 등은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한편 BSI는 경기에 대한 기업인의 예측을 수치화한 것으로 0~200 사이로 표시된다. 100이상이면 경기가 확장되고 있음을, 100미만이며 수축국면에 들어섰음을 보여준다.

 

뉴스파인더 최원영 기자 lucas201@newsfinder.co.kr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