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형 기자] 서울과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발생에 자동차 배출가스 등 교통 부분과 석탄 발전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이 2017년 이후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한 초미세먼지 특성 연구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 등으로 비슷했는데 조성비를 보면 베이징은 질산암모늄이 22%, 황산암모늄 11%, 유기물질 44%, 지각물질 등 23%였다.

반면 서울은 질산암모늄이 25%, 황산암모늄 25%, 유기물질 28%, 지각물질 등 22%였다.

이 가운데 자동차 배출가스와 관련 있는 질산암모늄 비율은 두 도시가 비슷했다. 석유·석탄 연소와 연관된 황산암모늄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의 절반 절도였으나 유기물질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의 1.5배였다.

질산암모늄은 2017년 기준으로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베이징에서는 10% 이상 증가했고 서울에서는 22%가량 증가했다. 이는 자동차 등 교통 부분의 발생량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환경과학원은 중국 정부가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에너지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면서 질소·황산암모늄 비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석탄 등 화석 연료 사용이 많은 겨울철에는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과학원은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 배출항목(인벤토리) 구축 등 추가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로 했다.

전권호 환경과학원 연구관은 "초미세먼지 성분은 전 세계 어느 곳이나 비슷하지만, 조성비는 생활 방식과 환경 등에 따라 다르다"며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의 월경 문제와 관련이 없고,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따져보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환경과학원은 공동연구단이 중국 주요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예·경보 자료를 실시간 분석해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함으로써 미세먼지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며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가 양국 간 최초의 연구 분야 협력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외에 바오딩, 창다오, 다롄 등 북동부 도시 3곳의 초미세먼지 조성비를 분석한 결과도 내년에 나온다.

공동연구단은 올해 청천 계획에 따라 지상관측 분석 항목을 확대하고 입체관측을 추진하는 등 공동 연구를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한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