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 강화에 따라 지난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610조7천562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7.1%(40조3천927억원) 증가했다. 

2018년 가계대출 증가율(8.0%·42조556억원)였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규제의 고삐를 더 강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은행권에 가계대출 증가율을 5%대로 관리하라고 주문했다. 전년 총량규제 수치로 제시한 7% 내외보다 더 낮은 수준이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4.7%)과 우리은행(5.5%)이 금융당국의 총량규제를 지켰다.

국민은행은 올해부터 적용되는 신(新)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을 의식해 지난해 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지 않았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1∼12월에 주택금융공사에 정책성 대출 3조원 가량을 양도한 영향이 컸다. 

반면 농협은행(9.3%)과 신한은행(9.0%)은 9%대의 증가율을 보였다.

다만 신한은행은 주택금융공사로 넘겨야 할 대출자산을 빼면 가계대출 증가율이 5%대로 낮아져 사실상 총량규제를 준수했다고 볼 수 있다.

하나은행 역시 명목상 증가율은 7.8%이나 공사로 양도할 자산을 빼면 4.8%로 내려간다.

지난해 가장 적극적으로 가계대출을 늘린 곳은 농협은행인 셈이다. 

농협은행은 여신이 많이 늘어나자 우대금리 폭을 축소하고 일부 대출상품을 축소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해명했다.

가계대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은 5대 은행을 합쳐 437조3천780억원으로 전년보다 8.0%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은 2017년 4.2%, 2018년 7.2%, 지난해 8.0%로 최근 3년 사이 오르는 추세를 보였다.

주택담보대출은 부동산 시장 동향과 연관성이 깊다.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9·13대책으로 한때 안정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 이에 정부는 시가 15억 초과하는 주택을 사려는 목적의 담보대출을 아예 금지하는 내용의 12·16대책을 내놓았다.

5대 은행의 대기업 대출은 지난해 4.1% 감소했다. 기업들이 투자에 나서지 않은 데다가 저금리 기조에 채권시장에서 자금을 직접 조달한 까닭이다.

대기업 대출은 2.4% '반짝' 증가한 2018년을 제외하고는 최근 몇년 감소세를 보여왔다.

5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지난해 7.4% 늘었다. 다만 증가율이 2017년 9.3%, 2018년 8.0%, 지난해 7.4%로 떨어지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