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오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9년간 치매 치료기술 개발 등에 2,000억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는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2년을 맞아 치매의 원인과 진단·예방·치료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에 2020년부터 2028년까지 9년간 2천억원을 투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17년 9월 18일 치매국가책임제를 발표하고 지난 2년간 치매에 대한 맞춤형 사례관리, 의료지원,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등 치매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들을 추진해왔다.

특히 올해 초부터는 독거노인 같은 치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치매예방과 사례관리를 강화했다.

또한 농·어촌지역 치매안심센터의 특성을 고려해 찾아가는 진단검사 등 방문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치매환자와 가족은 2017년 12월부터 전국 256개 보건소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부분 개소 31개소 포함)에서 상담, 검진, 일대일 사례관리, 서비스 연결까지 통합 서비스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262만명(치매환자 43만명)이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검진, 상담, 치매예방 및 치매쉼터 프로그램과 사례관리 같은 서비스를 이용했다.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으로 중증 치매질환자의 의료비 본인 부담금액은 평균 48만원에서 20만원으로 낮아졌다. 지금까지 4만명이 혜택을 받았다.

치매검사인 신경인지검사(SNSB, CERAD-K 등)는 2017년 10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기존 30만∼40만원하던 SNSB 검사 비용은 15만원 수준으로, CERAD-K 검사 비용은 20만원에서 6만5천원 수준으로(상급종합병원 기준) 떨어졌다.

복지부는 아울러 집에서 생활하는 경증 치매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다양한 신규 정책과제를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치매국가책임제가 보다 내실 있게 정착될 수 있게 지속해서 관리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제공]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