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형 기자] 공기청정기가 실내 미세먼지(PM 2.5)를 81% 이상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내면적보다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경기도 제공]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7일까지 열흘간 79.2㎡(24평형) 아파트 공간에서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의 미세먼지양을 측정해 실제 공기청정기의 효율, 공기청정기의 적정용량, 적절한 공기청정기의 위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공기청정기 이용법 등을 알아보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실내면적에 맞는 적정용량의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은 81.7%로 환기(46.2%)나 자연 강하(23.8%)보다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실험 당시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환기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 기여율은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경기도 제공]

이와 함께 46㎡의 아파트 거실에서 A(적정용량.46㎡), B(과용량.66㎡), C(초과용량.105.6㎡) 등 용량이 다른 공기청정기 3종을 가동해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측정했다.

적정용량의 A 공기청정기는 81.7%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보인 반면 적정용량의 1.5배인 B 공기청정기는 92.9% 효율을 나타내 실내면적보다 1.5배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했을 때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5배를 초과하는 C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은 92.5%로 B 청정기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1.5배를 초과하는 과용량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공기청정기를 거실 중앙, 벽면, 모서리 등 가동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율 측정 결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청정기 가까운 곳이나 먼 곳이나 미세먼지 농도에 차이가 없는 등 공간 전체의 제거효율은 동일한 것으로 측정됐다.

보건환경연구원은 공기청정기 가동 시 초기에는 최대 바람량으로 10분 이상 가동한 뒤 10분 이후부터 중간 풍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용법이라고 설명했다.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자연 환기가 불가능할 경우는 환기장치와 주방 레인지후드, 욕실 배기 팬을 동시에 가동한 뒤 공기청정기를 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 올바른 공기청정기 사용법[경기도 제공]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 실험 결과가 담긴 홍보물을 배포해 올바르고 효율적인 공기청정기 사용법을 알릴 계획이다.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외부 공기 질이 나쁘지 않을 때는 자연 환기가 가장 좋은 실내 공기 질 유지 방법"이라며 "최근 미세먼지로 외부 공기 질이 좋지 않은 날이 많은 만큼 공기청정기를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도민들이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생활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