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지난해 퇴직연금 수익률이 연 1%대에 머물러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운용회사들의 상품 수익률은 1%대가 대부분이다.

이마저도 적립금 비중이 큰 확정급여형(DB)이 주로 해당되고 확정기여형(DC)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원금을 까먹은 경우도 적지 않다.

퇴직연금 운용회사 중 적립금이 25조원으로 가장 많은 삼성생명은 지난해 퇴직연금 수익률이 DB형 1.63%, DC형 0.71%, IRP 0.49%였다.

교보생명은 DB형 1.25%, DC형 0.07%, IRP -0.07%였고 한화생명은 DB형 1.65%, DC형 0.96%, IRP 1.09%였다.

증권사 중 적립금이 12조원으로 1위인 현대차증권은 DB형 1.42%, DC형 0.25%, IRP -0.68%였다.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다른 주요 증권사들도 DB형은 수익률이 1.5~1.7%대 수준이었지만 대체로 DC형과 IRP는 마이너스였다.

은행권에서는 신한은행의 지난해 퇴직연금 수익률은 DB형 1.43%, DC형 0.89%, IRP 0.14%였고 IBK기업은행은 DB형 1.06%, DC형 1.25%, IRP 0.56였다. 또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도 DB형은 1%대, DC형은 0%대, IRP는 마이너스였다.

손해보험사의 경우 삼성화재는 DB형 1.70%, DC형 1.52%, IRP 1.24%였고 KB손보는 DB형 1.68%, DC형 1.33%, IRP 1.33%였다.

이런 퇴직연금 수익률은 지난해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인 점과 수수료 비용까지 고려하면 물가와 제비용을 감안한 실질 수익률은 마이너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퇴직연금 상품의 실질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지난해만의 현상은 아니다.

2017년에도 퇴직연금 수익률은 1.88%로 그해 소비자 물가상승률(1.9%)에도 못 미쳤다.

퇴직연금 수익률이 부진한 것은 저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은행 예적금, 원금보장 보험상품, 국채 등에 투자하는 원금보장상품에 편중된 구조가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시중 은행의 예적금 금리는 아직 1%대가 대세이고 일부 2%대 상품이 생겨나고 있다.

게다가 주식 등에 투자하는 원금비보장상품은 지난해 증시 부진으로 전체 수익률을 더 깎아내렸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차증권의 원금보장상품 수익률은 1.77%였지만 원금비보장상품은 -4.80%였다.

금융당국은 퇴직연금의 수익률 부진에 대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자 상품 다양화와 수익률 제고를 위한 방안들을 내놨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8월 원금보장상품 투자대상에 저축은행 예적금을 추가했고 DC형과 IRP의 경우 퇴직연금 자산의 100%까지 타깃데이트펀드(TDF)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TDF는 투자자 은퇴 시점과 생애 주기에 맞춰 주식과 채권 등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비중을 조절하며 운용하는 상품이다.

고용노동부와 금융위, 금융감독원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운용대상 원금보장상품의 종류를 지정하면 만기 시점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예·적금 상품으로 자동으로 갈아탈 수 있게 퇴직연금 원금보장상품의 운용지시 방법도 바꾸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