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지난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액이 전년 대비 30% 늘어 약 2조7천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9일 '2018 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이 2017년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설문에 응답한 기업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기업 19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사회공헌 지출액은 2016년 2조947억8천528만원 대비 30.1% 증가한 2조7천243억5천578만원으로 집계됐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지난해 기업당 평균 지출액은 137억5천937만원으로 2015년 113억8천59만원에서 2016년 106억8천768만원으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1개사당 사회공헌 지출액 중간값은 2015년 23억3천800만원, 2016년 21억5천148만원, 2017년 24억3천500만원이었다.

전경련은 "총액뿐만 아니라 사회공헌지출 평균금액도 2016년에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반등하는 추세"라며 "2016년에 있었던 탄핵 사태, 김영란법 시행 등으로 위축됐던 사회공헌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또 최근 기업들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특징을 '스위치'(S.W.I.T.C.H)로 표현했다.

이는 ▲ 청년창업 지원(Startup) ▲ 미혼모·저소득여성가장 등에 대한 여성 지원(Woman) ▲ 노인·교통약자·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 통합(Integration) ▲ 진로탐색·역사체험·4차 산업 융합교육 등 교육(Teaching) ▲ 임직원·고객·지역사회 참여프로그램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 ▲ 건강증진·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지향하는 힐링(Healing) 위주로 구성됐다는 의미다.

전경련은 통일 대비 프로그램과 같은 이색적인 사회공헌 사례도 주목할만하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한화는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 임직원이 함께 종주하는 '한화 자전거평화여행' 동행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하나은행은 탈북청년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탈북청년 취업지원 멘토링'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경련은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탈북 청소년·청년을 지원하는 기업들의 사업이 늘고 있다"며 "시혜적 프로그램보다는 남북한 간 문화적 차이와 벽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의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평균 운영 기간은 9.4년으로 조사됐다.

운영 기간별로 보면 6∼10년이 38.6%로 가장 많았으며 30.9%는 10년 이상에 해당해 성숙 단계에 진입했다.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대상은 아동·청소년(41.3%)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장애인(11.9%), 사회일반(7.8%), 노인(6.8%), 환경(6.5%) 등 이었다.

기업이 사회공헌 프로그램 운영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 해결 및 지역 발전 기여도(29.6%),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23.0%), 기업(또는 CEO)의 미션과 철학(22.5%) 순이었다.

전경련은 "기업들의 사회공헌 양상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는 추세"라며 "사회적으로 기업을 격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기업들이 사회공헌 활동을 더욱 능동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