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취업자 증가 폭이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10만 명대 이하에 머무는 등 최악의 고용 상황을 기록했다. 실업자 수도 7개월 연속 100만명을 웃돌았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7월 고용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08만3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천 명 증가했다.

한국 경제가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마이너스 1만 명을 기록했던 2010년 1월 이후 8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은 기록이다.

이로써 전년 동월과 비교한 취업자 증가 폭은 6개월째 10만 명대 이하를 기록했다.

취업자 증가는 올해 2월 10만4천 명, 3월 11만2천 명, 4월 12만3천 명, 5월 7만2천 명, 6월 10만6천 명이었다.

▲ 2018년 8월 3일 서울 동작구의 한 학원에서 수험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산업별 증감을 살펴보면 비교적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가 12만7천 명(2.7%) 감소했고,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10만1천 명, -7.2%), 교육서비스업(-7만8천 명, -4.0%) 등에서도 취업자가 많이 줄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9천 명, 7.7%), 정보통신업(6만8천 명, 8.8%), 금융 및 보험업(6만7천 명, 8.6%),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6만6천 명, 6.1%)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전반적인)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반도체 등 특정 업종에 몰려 있으며, 구조조정의 영향을 받은 선박이나 자동차는 실적이 좋지 않다"며 "이런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가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노동시장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대 취업자가 14만7천명 줄어들며 1998년 8월 15만2천명 줄어든 후 지난달에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통계청 측은 도소매업, 숙박업, 제조업 등에서 40대 취업자 감소가 많은 것으로 분석했다.

7월 고용률은 61.3%로 1년 전보다 0.3% 포인트 낮아졌다.

2015년 4월 0.3%포인트 하락한 후 최근 3년 3개월 사이에는 지난달 낙폭이 가장 컸다.

빈 과장은 "인구 증가 폭이 둔화하는 것 이상으로 취업자 증가가 크게 둔화했거나 특정 산업에서 감소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 커피숍에서 종업원이 손님에게 제공할 커피, 빵, 샌드위치 등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면 실업자는 103만9천 명으로 작년 7월보다 8만1천 명 증가했다. 이로써 실업자는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100만 명대를 넘어서고 있다.

실업자 수가 7개월 이상 연속으로 100만 명을 넘은 것은 1999년 6월∼2000년 3월에 이어 18년 4개월 만의 일이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비교하면 0.3%포인트 높아졌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3%로 1년 전과 같은 수준이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1.5%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상승했고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은 22.7%로 0.1%포인트 높아졌다.

종사상 지위로 구분하면 임금근로자 중에는 상용근로자가 27만2천 명 늘었고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10만8천 명, 12만4천 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만2천 명 증가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는 각각 10만2천 명, 5천 명 감소했다.

7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6만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5천명 (1.0%) 늘었다.

활동상태로 증감을 구분하면 쉬었음(23만2천 명, 14.0%), 가사(9만2천 명, 1.6%) 등은 늘었다.

반면 재학·수강(-9만4천 명, -2.4%), 육아(-8만8천 명, -7.0%), 심신장애(-2만3천 명, -5.3%)를 이유로 한 비경제활동인구는 줄었다.

취업준비자는 67만8천 명으로, 작년 7월보다 4만1천 명(5.7%) 감소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