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2년 연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리뷰 7월호에 실린 '저임금 근로자 특성과 변화'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전체 근로자 가운데 저임금 근로자는 23.8%로 조사됐다.

연구원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원자료로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임금 근로자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임금을 한 줄로 나열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임금(중위 임금)의 ⅔ 미만을 받는 근로자를 뜻한다.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지난 2012년 24.6%에서 꾸준히 떨어져 2015년 21.3%까지 내려갔으나 2016년 23.2%에 이어 2년 연속 상승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근로자 15.7%, 여성 근로자는 34.0%로, 여성 근로자들은 일자리 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음식숙박업에선 절반이 훌쩍 넘는 65.2%가 저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소매업에선 42.5%가, 청소, 여행보조, 사무지원 서비스 등을 아우르는 사업시설 및 지원서비스업에서는 40.9%가 저임금을 받는다.

여성 고용 증가세를 이끄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도 여성 근로자 31.2%가 저임금이다.

가사·육아와 병행을 위해 여성들이 시간제 근로를 하는 것도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2017년 증가한 시간제 일자리 10개 중 7개가 여성 일자리였다. 시간제 근로의 60%가량이 저임금 일자리다.

시간당 임금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저임금 근로자 임금은 전체 임금근로자 평균의 43.7% 수준이다.

상대 임금 수준은 2011년 37.0% 이후 매년 상승세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6%포인트 오르며 상승 폭이 컸다.

한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국제적으로도 높은 편이다.

201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3.5%로 미국(24.9%)에 이어 3위였다.

특히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37.2%로 OECD 1위였다. 2위 미국(29.5%)보다 7.7%포인트 높았다.

OECD 평균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15.8%이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