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지난 7월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3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5.6%로 OECD 회원국 평균(1.7%)의 3.3배에 달했다.

이는 OECD 내에서 터키(10.1%), 멕시코(9.7%), 라트비아(6.6%), 체코(5.8%)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비해 스페인(0.1%), 미국(0.3%), 스위스(0.3%), 일본(0.6%), 노르웨이(0.7%), 이탈리아(0.9%) 등은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0%대에 그쳤다. 캐나다(-0.1%), 이스라엘(-1.0%), 핀란드(-1.5%), 그리스(-1.5%), 아일랜드(-2.0%), 아이슬란드(-4.3%) 등은 오히려 물가가 떨어졌다.

이처럼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가 급등한 것은 장마·폭염 등의 영향으로 신선채소와 과실 물가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데다 오징어와 계란 등의 가격도 고공비행을 이어갔기 때문이다.

7월 물가 상승률을 보면 우유·치즈 및 계란(12.8%), 과일(18.2%), 채소 및 해조(10.5%) 등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고, 세부 품목별로는 달걀이 64.8%, 오징어(50.8%), 감자(41.7%), 호박(40.5%) 등이 오르면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7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한국이 2.2%로 OECD 회원국 평균(2.0%)보다 높았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가 OECD 평균보다 많이 오른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채소류와 계란 등 신선식품 가격이 많이 올라 전반적인 식료품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지난 2분기 전국가구 기준 월평균 가계소득(2인 이상·명목)은 434만6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9% 증가하는데 그쳐 8분기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렀다.

특히 물가지수를 감안한 실질소득은 1.0% 줄어들면서 7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