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과 국내외 경기침체 등 영향으로 내년 실업률이 2001년 이후 15년 마에 최고치에 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30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2016 노동시장 평가와 2017년 고용 전망'에 따르면 내년 실업률은 3.9%로 올해(3.7%)보다 높아지는 것은 물론, 2001년(4.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고용률은 60.5%로 전망됐다. 상반기 60.0%에서 하반기 61.0%로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3.0%로 올해보다 0.3%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내년에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에 큰 역할을 했던 50대 인구의 증가 둔화, 제조업 구조조정, 국내외 경기침체 등 영향으로 실업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해 1∼10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만 6천명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10월 32만 6천명 증가한 것보다 3만명 줄어든 것이다. 고용률은 0.1%포인트 높아진 60.4%를 기록했다.

청년층(15∼29세)은 20대 졸업생을 중심으로 노동시장 진입이 활발했다. 하지만 좋지 않은 경제여건으로 인해 취업자가 1∼10월 평균 5만 800명 증가하고 실업자도 동시에 4만 4천명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취업자 증가세를 이끌었던 50대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 15만 1천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9만명에 그쳤다.

이는 베이비부머가 50대 중반과 60대 초반으로 이동하면서 50대 인구 증가 폭이 둔화하는 영향을 받은 것으로, 향후 전체적인 취업자 수 증가 폭도 축소될 전망이다.

제조업 구조조정 여파로 상용직 임금근로자 증가 폭도 둔화했다.

상용직은 올해 1∼10월 평균 40만 9천명 증가했지만, 1분기 51만 8천명, 2분기 45만 7천명, 3분기 31만 6천명으로 증가 폭이 빠르게 둔화했다.

반면에 자영업자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1∼10월 평균 자영업자는 4만 5천명 감소했지만, 3분기에는 5만 2천명 증가했다. 이는 경기 둔화로 일자리가 부족해 창업 전선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6년 1∼10월 서비스업 취업자는 34만 1천명 증가했다. 이 중 55세 이상 고령층이 26만 4천명이었다. 고령층 서비스 취업자 상당수는 간병인 같은 서비스직, 청소원 같은 단순노무 일자리로 저숙련·저임금 일자리라는 한계가 있다.

내년에는 50대 인구증가 폭 둔화와 조선업 구조조정 이슈가 지속하는 데다, 경기 둔화 양상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취업자 수 증가는 제한될 것이라고 연구원은 예상했다.

더구나,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정국 혼란, 대통령 선거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존재해 고용시장 전망을 어둡게 한다고 분석했다.

노동연구원 성재민 동향분석실장은 "한국은행의 전망대로 상저하고 형태의 경제성장이 이뤄진다면 내년 하반기에 노동시장 상황이 개선될 수 있다"며 "하지만 이러한 불확실성이 현실화하면 하반기 회복도 어려울 수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노동시장 상황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