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파인더 헤모라이프 신정섭 객원기자] 덕혜옹주 영화가 개봉하고 ‘역사왜곡’이라는 주제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긴 했지만, 역사왜곡은 잠시 접어두자, 영화는 영화이니까 말이다.(다큐가 아니다) 영화는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조선의 마지막 황녀인 덕혜옹주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간다. 

▲ 덕혜옹주를 연기한 손예진

특히 이 영화에서 박해일과 손예진의 연기는 돋보였다. 정말 보는 내내 주인공들에게 몰입되어 같이 긴장하고 웃고 울게 하는 재미가 있는 그런 영화였다. 그리고 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손예진은 덕혜옹주라는 실존하지만 영화가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을 정말 완벽하다시피 연기했다. 그러한 연기가 영화를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뭉클하게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잠시 영화의 내용을 보자면, 일제의 탄압으로 덕혜옹주가 일본으로 유학이라는 명목하에 볼모로 잡혀가면서, 조국을 그리워하고 일제의 탄압에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극중 김장한 역을 맡은 박해일과 다른 독립 운동가들이 덕혜옹주를 조국으로 데려가기 위해 애쓰고 희생하는 장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해 망연자실하고 자포자기 해버린 덕혜옹주의 모습을 보자면, 가슴이 뭉클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김장한 역의 박해일
▲ 신정섭 객원기자 (오른쪽. 올해 코헴 여름캠프에서)

영화관을 나서면서, 실존인물의 삶을 재구성한 픽션이지만 한국인으로서 우리들의 뿌리가 어디를 향해있는가를 고민하게 해줄 수 있는 시의적절한 영화가 아니었을까 생각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영화의 후반에 나오는 덕혜옹주가 그리운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해 스스로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남은 생을 보내는 모습, 하지만 결국엔 김장한이 덕혜옹주를 조국으로 데려오는데 성공하는 모습이 감동적이었는데, 그 모습을 보면서 우리 환우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덕혜옹주가 조국으로 돌아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들도 혈우병이라는 병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못 벗어나고 있는 모습이 겹쳐보였다. 하지만 결국 덕혜옹주도 그리던 조국에 돌아갔듯 우리들도 희망을 가지고(비록 덕혜옹주는 정신병원에 갔지만, 우리는 항상 긍정적으로!) 삶을 살아간다면, 더 좋은 치료제 나아가 혈우병 완치라는 것을 우리가 살아생전에 볼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누려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영화였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