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연 기자] 오는 2018년부터 국가 건강검진을 받는 사람은 검진결과를 스마트폰을 통해 맞춤형으로 제공된다. 동일 연령대와 비교한 자신의 건강 수준은 물론 앞으로의 건강상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검진 결과와 건강관리를 연계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도 시행하며 생활습관 상담 제공 횟수도 늘린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2차(2016년∼2020년) 국가건강검진 종합계획을 국가건강검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28일 확정했다고 밝혔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수검자는 2018년부터 건강검진 결과뿐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자신과 비슷한 연령대와 비교한 건강상태, 향후 건강 예측치 등을 스마트폰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자신의 수면·영양 상태 운동기록 등을 입력해 건강 실천도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양방향 서비스도 시행하고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 대상 연령(40세, 66세)에게만 제공하던 의사와의 건강상담도 40세 이후 10년마다 받게 할 계획이다.

중증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고혈압·당뇨병 환자를 조기에 발굴 관리하기 위해 국가건강검진 결과 고혈압·당뇨병 질환 의심자로 판정받은 사람은 본인이 원하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비용부담 없이 추가 검사를 받고 확진 즉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는 국가건강검진 결과 질환의심자로 판정받아도 해당 검진기관을 다시 방문해 확진 여부를 검사받거나 스스로 다른 의료기관을 찾아 돈을 주고 검사를 받아야 했다.

5대암의 경우 현재 확진 검사비를 지원하는 위암과 대장암을 포함해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으로 비용 지원을 확대한다.

취약계층 건강검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장애인 건강검진프로그램도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또 내년부터 영유아 검진 결과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밀검사를 이용하지 않는 가구 등을 파악해 사후관리를 하고 읍·면·동 복지지원체계 등과 연계해 치료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약 3억건에 이르는 건보공단의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이용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건강관리를 활성화하겠다"며 "정보 관리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