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근 뉴스파인더 대표

[뉴스파인더 김승근 대표] 두 사람 사이에서 서로 멀어지게 하는 짓을 놓고 우리는 이간이라 한다. 성경에서도 이간하는 자를 마귀로 규정하고 있다. 조금 폭 넓게 살펴보면 두 가지의 다른 이야기를 통해 갈등을 유발시키는 행위로 볼 수 있다. 이같은 일을 국가에서 조장하거나 방치한다면 이것 또한 아이러니한 것임에 분명하다.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교과서 논란 이야기다. 조금 부풀려 해석되었을 수도 있지만 인격의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미명하게 생성된 긍적 효과보다는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야기 시키는 부정효과가 한국사 교과서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보다는 비판적 견해를 높이는 것, 나아가 긍지와 자부심을 끌어올리는 것보다는 비판 정신만 강조하는 것. 이것은 어디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우리 교과서들이 우리 스스로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교육은 순간의 결과를 얻기위해 이뤄지는 게 아니다. 현재의 교육이 10년 후 또는 20년 후 아니 그 보다 먼 미래에 적용되는 것이 태반일 터. 그래서 우리는 교육을 백년지대계라 부른다. 우리는 오랫동안 사회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었던-어쩌면 알면서도 방치한- 교과서를 가지고 밤 세워가며 암기해왔는지도 모른다.

특히 남북간 대치되어 있는 이 나라에서, 국가정체성을 모호하게 서술해온 국사교과서들을 방치한 것은 국가의 기본적 임무를 포기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올 지경이다. 이른바 진보라는 탈을 쓴 좌익세력들의 비민주적 비애국적 논리행위를 제압 하기는 커녕 ‘당장에 문제가 없으면 넘어가자’는 식의 아닐 한 태도가 오늘날 이곳저곳에서 진영논리를 펴고 사회갈등을 만들어 냈는지도 모르겠다.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정교과서를 채택해야 한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78.3%가 ‘국가 차원에서 일관된 역사 교육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한 국가에서 자신의 역사를 달리 가르친다는 것은 이해 할 수도 없고 이해 될 수도 없다. 한 가정에서 큰 아이와 작은 아이에게 부모의 삶을 달리 가르친다면 두 아이의 갈등은 자명한 것이다. 일관된 애국의 역사관을 갖도록 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이고 책임이다. 따라서 한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하는 길이 옳다.

법원, "좌편향 국사교과서 수정하라"

한국사교과서의 수정을 놓고 ‘교과서 6종 집필진’이 교육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낸 것과 관련해서 법원은 지난 4월 좌편향 한국사 교과서의 수정을 명령한 교육부의 손을 들어줬다. 앞서 교육부는 ‘금성출판사와 두산동아, 미래엔, 비상교육, 지학사, 천재교육은 한국사 교과서에서 총 30곳을 고쳐야 한다’고 했고, 법원은 ‘교육부의 수정명령이 모두 적법했다’고 판결했다.

일부 교과서에서는 남북 분단의 책임이 남한에만 있는 것처럼 묘사돼 있었고, 북한 체제의 한계점도 명확하지 않았다. 더욱이 일부 서술방식은 그 논조가 비애국적으로 국익에 현저하게 배치되기에 교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법리적 해석으로도 국사교과서는 정확한 사실에 입각한 올바른 역사를 보급하는 것이 맞다는 취지의 결정이 있었다.

우리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배워야하는 ‘교과서’가 아니라면, 헌법에서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가 이에 속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문제이다. 우리의 역사를 일관되게 배우지 못한다면 견해의 차이를 넘어 언젠가 폭발하게 될지도 모르는 원망과 갈등만 쌓여갈 수밖에 없다.

‘나라사랑 부모사랑’

이 한마디의 가르침이 애국과 공경 그리고 세대 간 갈등을 해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가슴속 깊이 생각해 볼 때이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