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파인더 박주연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 이하 방통위)가 지난 1일부터 KBS와 방송문화진흥회(MBC 대주주, 이하 방문진) 이사 공모에 나선 가운데 언론노조 진영 매체들의 여론전도 강화되고 있다. 

현재 공영방송 이사회의 구조가 여대야소로 돼 있어 불공정하다는 주장을 앞세워 정치권 압박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과거 이른바 진보정권 당시에도 이 같은 구조는 같았지만 당시 야당(한나라당)의 불공정 주장에는 눈을 감았었다. 이제와 자신들이 불리하니 여대야소의 지배구조가 불공정하다며 바꾸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잃는 이유다. 

게다가 여대야소의 구조 속에서도 KBS의 경우 문창극 왜곡보도 파문, 길환영 사장 해임, 광복70주년 특집 다큐 ‘뿌리깊은 미래’ 편향 논란, 최근 ‘이승만 매도 조작보도’ 파문 등 오히려 야대여소의 경향을 보이고 있어 지배구조가 방송공정성과 무관하다는 점도 증명됐다. 오히려 시사보도프로그램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언론노조가 방송공정성의 문제와 직결돼 있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 공영방송 이사추천위원회(공추위) 6월 24일 오전 발족식, 사진출처 : 언론노조

이런 가운데 언론노조 측은 기자회견, 토론회 개최, 성명발표 등 다양한 방식의 여론전을 전개하고 있지만 여론의 호응이 부족한 듯 공영방송 이사선임제도 알리기에도 나섰다. 최근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공영방송 이사 선임제도에 대한 시청자 인식이 낮은 결과를 바탕으로 홍보전에 나선 모양새다. 

언론노조 측 매체인 PD저널은 지난 2일 <공영방송 이사가... 뭐예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공영방송 이사 선임제도 알리기에 나섰다. 

PD저널은 “지난해 개정한 방송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 캠프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일한 지 3년이 지나지 않은 이는 공영방송 사장과 이사를 맡을 수 없게 됐지만, 사장임명(추천)권을 갖고 있는 공영방송 이사회의 구조가 ‘여대야소’로 정부·여당 측 추천이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친(親)정부 사장’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방송계와 학계, 시민사회 등에서 공영방송 이사 구성에 대한 우려와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시청자인 일반 국민들은 ‘공영방송 이사’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지난 6월 26일부터 29일까지 전국 16개 시·도 만 19세 이상 남녀 1100명(신뢰도 95%, 오차범위 ±2.95%p)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KBS와 MBC(방문진), EBS이사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임명하는지를 모른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무려 74%(814명)에 달해 공영방송 이사 선임 제도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한국언론정보학회는 소위 진보성향의 색채가 강한 親언론노조 성향으로 알려진 단체다. 

PD저널은 이 같은 결과에 따라 ▲공영방송 이사 구성 ▲방송통신위원회 역할 ▲공영방송 이사회 의결구조 ▲공영방송 이사 역할 등을 Q&A 형식으로 소개했다. 

PD저널은 그러면서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기능이 이사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된다면 여대야소 구조에서 여권 이사들에 유리한 것 아닌가요?”라는 질문에 “이 같은 지배구조에 대한 변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면서 방통위의 공모절차와 함께 언론노조 진영의 지배구조 변경 요구를 소개했다.

PD저널은 “시민사회에서는 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해 △KBS·MBC·EBS 등 3개 공영방송 이사수는 11인으로 맞출 것 △이사는 국회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할 것 △이사회 구조는 여야 각 4인 및 여야합의 3인으로 추천해 선임구조의 중간지대를 둘 것 △이사장은 여야가 합의한 3인의 이사 중에서 호선할 것 △국회에 공영방송 3사 공통으로 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둘 것 △사장선임은 이사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는 특별다수제를 도입할 것 등을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또한 언론노조와 언론학회,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지난 6월 24일 공영언론이사추천위원회를 발족하고, 여야 정파의 이해를 사실상 대리하는 인물들로 구성된 공영방송 이사회 구조를 타파하기 위해 직접 적임자를 찾아 선임·추천 권한이 있는 방통위에 일괄 공동 추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같은 제도변경 시도와 공영언론이사추천위원회 구성 등은 모두 언론노조의 공영방송 장악시나리오라는 게 많은 언론전문가와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공영언론이사추천위원회를 통해 앞서 2012년 KBS 이사구성 당시 야당 측 4인 이사 중 언론노조 추천인사 3인이 진입했던 성공모델을 이어가는 동시에, 공영방송사 이사수를 맞추고 특별다수제 등을 요구하는 것은 MBC와 EBS 등에도 같은 방식으로 언론노조가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는 것이다.  

PD저널의 이 같은 보도 역시 그런 전략 차원에서 여론 지지를 환기시키려는 목적에서 나왔다는 분석이다. 김승근 미디어내일 공동대표 겸 미디어비평가는 “일반 시청자들 입장에선 공영방송 뉴스와 프로그램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지 이사 구조까지 시시콜콜히 알아야 할 이유가 있나?”라며 “언론노조 측 매체들이 KBS의 편향, 왜곡보도가 나오는데도 여대야소 지배구조만 강조하는 것은 언론노조의 문제를 감추며 본질을 호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