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3월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최악의 청년 실업률(11.1% 15년 7개월만에 최고치)이 언론을 통해 충격적으로 전해진 반면, SNS에서는‘감정점유율’ 변화가 없는 일상화된 이슈가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박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 후 문대표의 ‘경제실패‘ 지적에 대해 청와대가“경제위기 아니다”라고 반박하면서 ’청년실업‘이 정부의 잘못된 경제상황 인식과 연관되어 있다는 비판의 빌미를 제공하게 되었다.

▲<동아 사설> "경제위기 아니다"는 발표 믿기 어려운 이유 : 대통령의 경제업적을 홍보하기 위한 것이라면 국민을 오도하는 과잉충성 http://goo.gl/77Rg22

그리고 문 대표의 “최악 청년실업은 경제실정 결과”http://bit.ly/1ALYXn7 라는 비판보다는 박대통령의‘7차 무역투자진흥회의’(3월 19일) 청년 고급인력의 중동 진출 언급이 ‘청년 실업 해법 = 중동 보내기’로 왜곡 해석 되면서 SNS를 뜨겁게 달구었다.

 
 

 

 

 

 

 

 

 

최악의 ‘청년 실업률’에 대한 국민정서를 고려하지 않은 메시지로 비춰져 ‘중동성과와 소통행보(여야 대표회동)에 대한 긍정 평가 분위기를 반감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어(정부 > 대통령 > 중동 순) 분석결과, ‘청년실업 = 정부 책임론’프레임이 주를 이루었는데 진보진영의 목소리가 강했던 측면도 있지만 박대통령과 정부의 상황인식에 문제가 많다는 여론이 확산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전쟁 화약고 중동으로 청년들을 내쫓는 무책임한 정부 △청년실업대책 "중동에 가" △“청년실업 늘어난 게 중동진출 못해서냐? 자기탓은 없어” 등

 

언론들이 일제히 특단의 대책을 요구할 만큼 ‘청년실업’은 개인을 넘어 이미 우리사회의 심각한 구조적 문제로 고질화한 지 오래이다.

정부가 2009년부터 5년간 ‘청년 일자리 사업’에 7조 361억원을 투자했지만 41개 청년 일자리 사업에는 중장년이 더 많이 참여한 사실이 드러났고, 정년 60세가 의무화 되는 내년부터 청년들의 취업절벽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청년실업률이 높은 데에는 높은 대학 진학률,대학 교육과 현장의 미스매치, 취업준비 장기화 등 여러 구조적 요인이 있는 ‘고차방정식’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제공 등 당장 급한 불부터 끄고 보자는식의 단기 일자리 대책은 근본 처방이 아니다.

그래서 정부와 정치권이‘임금피크제’ 등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친 하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이번 조사는 3월 16일~ 22일 (주)메조미디어 소셜분석 플랫폼 티버즈(TIBUZZ, www.tibuzz.co.kr)를 통해 국내 트위터 720만 계정과 페이스북 엑티브 유저 800만 계정, 국내 블로그 20만계정을 조사한 결과이며, 분석기준은 수집 키워드 기준 제거 키워드를 통한 1차 필터링과 정성 분석을 통한 가비지(garbage) 버즈를 제외한 2차 필터링을 통해 순수 버즈 추출방식으로 이뤄졌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