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이 중국 국가안전부 요원들에게 체포돼 구금된 지 약 4개월만에 풀려나 한국으로 귀국했다. 중국에선 국가안전위해죄 혐의를 물었지만 실상 북한 주민들의 탈북을 지원한 것이 그의 죄였다.

 

우리나라에 북한 주체사상을 퍼뜨려 소위 종북세력을 만들어 낸 장본인 ‘김영환’. 그는 이제 탈북자들을 지원하는 ‘북한인권운동가’다.

 

김영환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정확한 경위는 아직 밝히지 않았지만 북한의 반체제인사를 데리고 나오려고 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이들이 체포된 데에는 탈북지원 활동에 반감을 가진 북한 국가안전보위부의 요청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 주민은 참혹한 인권 침해와 잔혹한 독재에 시달리고 있다. 어떠한 탄압에도 북한 인권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 귀국 직후 그의 발언이다.

 

열렬한 북한 주체사상의 신봉자였던 그에게 과거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최근 토론회에서는 종북세력의 한계를 짚어보는 얘기가 자주 나온다. 소위 종북세력들 조차 북한의 실체를 알면 알수록 환상이 깨어져 자연스럽게 주사파, 종북세력이 와해될 것이란 시각이다.

 

김진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종북세력들을 북한에 보내 한 달만 체류하게 하면 이들의 사상을 뜯어고칠 수 있을 것이란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진심과 농담을 섞은 얘기였지만 실제로 주사파 대부 ‘김영환’의 사례가 여기에 해당한다.

 

1980년대 서울대 법대를 다니던 김영환은 민족해방(NL) 계열 주체사상의 교범과 다름아닌 ‘강철서신’을 집필한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 직접 북한에 넘어가 김일성을 면담한 뒤 남으로 내려와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을 만들고 주사파를 주창했다.

 

하지만 북한 주사파 학자 등과 치열하게 논쟁하고, 그들의 실체를 확인하면서 “수령론은 완전한 허구이자 거대한 사기극”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김영환은 1990년대 중후반 무렵 지하조직의 해체를 주장하며 전향을 선언한 뒤 지금껏 북한의 주민 인권과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북한인권운동가로 활동해왔다.

 

과거 자신의 행동에 책임의식이라도 느끼는 걸까. 김영환씨는 대한민국 사회에 주사파가 종북세력이 되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처럼, 북한에서도 역시 민주화운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10여년간 치밀하게 노력해 왔다. 바꿔 말하면 북 내부에 종남(從南)세력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얘기다.

 

지금 경기동부연합 등 모든 주사파의 요체로 알려진 민혁당을 만들었던 자가 내린 결론이다.

 

북한의 실상과 현실을 깨닫고 내린 그의 판단은 결국 현재 종북세력들이 밟게 될 수 밖에 없는 수순이라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굶주리고 헐벗은 이들을 따라가야 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역설적으로 빈부격차가 더 극에 달한 부조리한 사회가 바로 북한이다.

 

하지만 아직도 이런 북한을 따라가고자 하는 시대착오적인 이들이 있다. 심지어 그들은 국민들을 대변하는 국회의원이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에서 조차 북한인권법을 채택했다. 하지만 우리 동포들이 정치범 수용소에서 고통받고 있고 굶주리고 헐벗은 주민들이 신음하고 있음에도 정작 한국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

 

이미 7년째 국회에 묵혀둔 북한인권법안은 17대, 18대를 거쳐 다시 19대로 넘어왔다.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이 새로 발의했지만 통과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줄기차게 반대하고 있는 야당은 ‘남의 나라의 일에 간섭해서 괜히 자극할 필요가 있느냐’라는 게 기본적인 자세다.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풀이할 수 있다. 아울러 북한인권법을 통과를 주장하는 단체가 보수성향 단체라는 점을 지목하며 이들을 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한핏줄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이렇게 심한 상황인데 인권운동가를 자처하며 약자를 편들겠다고 외치던 야당 인사들은 왜 잠자코 있는가. 북한인권법을 정치적으로만 해석해 북한 주민들의 고통은 눈감겠다는 얘기가 아닌가.

 

얼마전 탈북자들이 중국에 구금된 채 강제 북송 될 상황에서도 야당은 침묵했다. 잔혹한 형벌이 기다리는 북으로 돌아갈 탈북자들을 살려야 한다는 운동이 곳곳에서 일었고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강제북송을 막고자 단식투쟁까지 불사했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었다. 구금된 수십명 북한 주민의 생사가 달린 일이라고도 볼 수 있었다.

 

걸핏하면 들고나오던 촛불이 단 한 개도 타오르지 않았고 여론이 뜨겁게 달아오르며 질타가 난무하자 야당은 그제서야 부랴부랴 북송 반대 논평을 내는 정도로 표심을 지키는 데 힘썼다.

 

아직도 이석기, 김재연, 이상규, 임수경 의원 등은 끊임없이 정체성을 의심할 수 밖에 없는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애국가는 국가가 아니라고, 북한이 공격해도 대응하면 안된다고, 탈북자에게 변절자라고 말하는 이들이 아직도 국회에 있지만 아직까지 이들을 막아내지 못하고 있다.

 

북한인권법 제정이 시급하지만 이들이 있어 더 요원해졌다. 토론회에서 말한 것처럼 이들을 모두 북한에 보내 실상을 깨닫게 하자. 노수희 같은 관광차원이 아닌 북한의 문제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과연 그곳이 유토피아가 맞는지 아닌지 확인하게 하자.

 

초짜 종북 국회의원들에게 고한다. 주체사상의 대부 김영환이 그랬던 것처럼 치열하게 고민하고 탐구해서 깨달아라. 어설픈 환상을 집어던지고 현실을 바라봐라. 그리고 자신들이 뱉었던 말들을 곱씹으며 비상식이 지배하던 삶에 대해 반성하라.

 

김승근 기자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