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올 상반기 한국의 지식재산권(지재권) 무역수지가 역대 최대 규모 흑자를 기록했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6월 지재권 무역수지 흑자는 3억7천만달러로, 종전 역대 최대치인 2019년 하반기의 3억5천만달러보다 2천만달러 더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하반기(4천만달러)에 이어 2개 반기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한은은 "최근까지 10억달러대를 기록해왔던 산업재산권 적자 규모가 축소되고, OTT(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활성화에 따라 국내 콘텐츠 수출이 호조를 띠면서 문화예술저작권이 견실한 흑자 흐름을 지속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 [그래픽]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상 우리나라의 지재권 무역은 국내 기업이 휴대전화 등 전기전자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국 등이 보유한 특허 및 실용신안권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적자가 불가피한 구조이나, 최근 들어 저작권을 중심으로 흑자 폭이 확대됐다.

저작권은 8억7천만달러 흑자, 산업재산권은 3억7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저작권 중 문화예술저작권의 흑자(3억3천만달러→3억8천만달러) 폭은 늘었지만,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SW)의 경우(7억1천만달러→4억9천만달러) 줄었다.

문화예술저작권 중 음악·영상 저작권이 4억달러 흑자를 달성, 지난해 하반기(4억5천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 기록을 세웠다.

연구개발 및 SW 저작권 중 컴퓨터프로그램은 게임 제작사의 수출이 늘며 적자 폭을 1년 전 9억3천만달러에서 6억7천만달러로 줄였다.

산업재산권 중에서는 특허 및 실용신안권(-1억1천만달러)과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3억2천만달러) 모두 적자 폭을 축소했다.

기관 형태별로 무역수지를 나눠 보면 국내 대기업은 특허 및 실용신안권, 상표권 수출 증가에 힘입어 2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 유형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한은 제공]

국내 중소·중견기업 역시 흑자 폭을 1년 전 5천만달러에서 4억3천만달러로 키웠다. 외국인 투자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24억5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1년 전보다 적자 폭이 6억달러 늘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은 6억5천만달러 흑자를 냈지만, 서비스업은 3억3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제조업 가운데 전기전자제품의 경우 국내 대기업의 특허 및 실용신안권 수출이 늘면서 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거래 상대방 나라별로는 중국(10억9천만달러)과 베트남(11억2천만달러) 등에서 흑자였다.

미국에 대해서는 5억6천만달러 적자를 냈지만,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재산권 수출이 늘면서 적자 폭은 반기 기준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일본에 대해서도 2억2천만달러 적자를 냈지만, 현지 법인에 대한 음악과 영상 저작권 수출이 늘며 그 폭이 축소됐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