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 속 장보기 [사진=연합뉴스]

[윤수지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며 7개월 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국제 유가 하락에 석유류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7%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낮아진 건 지난 1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물가 상승률은 1월 3.6%에서 2월 3.7%로 올라선 뒤 3월에 4.1%, 4월에 4.8%, 5월에 5.4%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 6월과 7월엔 각각 6.0%, 6.3%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월 대비 6개월 연속 커졌던 물가 오름폭은 지난달 둔화해 3개월 만에 5%대로 내려왔다.

8월까지의 전년 누계비 물가 상승률은 5.0%로, 올해 처음 5%대에 도달했다. 다만 8월 물가가 전월비로는 0.1% 내렸기에 전월비 하락이 이어지면 물가 상승률이 연간으로는 5%대가 되지 않을 수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물가 상승률이 전월 대비 하락한 것은 지난 2020년 11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8월에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둔화한 데는 유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공업제품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인 영향이 크다.

공업제품 상승 폭은 7.0%로 전월 8.9%보다 내려갔다. 기여도도 전월 3.11%포인트(p)에서 2.44%포인트로 하락했다.

석유류는 경유(30.4%), 휘발유(8.5%), 등유(73.4%) 등이 모두 오른 영향으로 19.7% 상승했다. 

석유류 오름폭은 여전히 큰 수준이지만 전월의 35.1%보다는 줄었다. 전년동월비가 아닌 전월비로 보면 석유류는 10.0% 하락해 1998년 3월(-15.1%)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가공식품은 8.4% 올라 전월(8.2%)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공공요금 인상 여파에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15.7%로 전월(15.7%)과 같았다. 전기료(18.2%), 도시가스(18.4%), 지역난방비(12.5%), 상수도료(3.5%)가 일제히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7.0% 올라 전월(7.1%)보다 상승률이 소폭 낮아졌지만, 이 중 농산물은 상승 폭이 10.4%로 전월(8.5%)보다 커졌다. 농산물 상승률은 지난해 6월(11.9%)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배추(78.0%), 오이(69.2%) 파(48.9%) 등 채소류가 27.9% 올라 전월(25.9%)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축산물(3.7%)과 수산물(3.2%) 상승 폭은 전월보다 낮아졌다.

▲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개인서비스는 6.1% 올라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외식 상승률이 8.8%로 1992년 10월(8.8%) 이후 약 30년 만에 최고치였다. 치킨(11.4%), 생선회(9.8%) 등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보험서비스료(14.9%) 등 외식 외 개인서비스도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4.2% 올랐다.

집세는 1.8%, 공공서비스는 0.8%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8% 올랐고,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4%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와 근원물가는 모두 상승 폭이 전월(7.9%·4.5%)보다 둔화했으나 신선식품지수는 14.9% 올라 전월(13.0%)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물가 상승세가 정점을 찍고 내려가는 것이냐'는 질문에 "유가나 국제 곡물가 같은 대외변수들의 흐름이 완전히 역전되지 않는다면 정점의 가능성도 실질적으로 있다"면서도 "다만 대외적 불안 요인들이 다시 악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국제유가 하락과 함께 유류세 인하 등의 노력이 결부된 결과로 연중 물가 상승을 견인해온 석유류 가격이 하락했고, 밥상 물가 오름세를 견인했던 축산물도 6∼7월 할당관세 적용 이후 다소 안정화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명절 성수기 수요 증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등 물가 불안 요인이 계속 잠재된 만큼,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계속해서 모든 정책 노력을 다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