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지난해 출생아 수가 26만명대로 감소해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출산율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다만 35세 이상 출산율은 작년보다 늘었고, 특히 40대 초반 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1천800명(-4.3%) 감소했다.

1970년까지만 해도 100만명대였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01년 50만명대, 2002년 40만명대로 줄어들었다.

이후 2017년 처음 30만명대로 내려앉은 뒤 불과 3년 만인 2020년부터 20만명대까지 추락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5.1명에 그치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인 0.81명으로 전년 대비 0.03명(-3.4%)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1명에 못 미치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었다.

▲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추이 [통계청 제공]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27.5명)이 3.1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전체 연령 가운데 출산율이 가장 높은 30대 초반 여성(76.1명)도 1년 새 출산율이 2.9명 감소했다.

반면 30대 후반(1.2명), 40대 초반(0.5명) 등 35세 이상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4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은 7.6명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4세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부부가 결혼 이후 첫째 아이를 출산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2.5년으로, 10년 전(1.8년)과 비교하면 0.7년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결혼·출산 자체가 늦어지면서 고령 산모 출산율이 늘었지만,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 출산율이 줄면서 전체 출산율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셋째 이상으로 태어난 아이는 2만1천명에 그치며 전년 대비 5.9% 감소했다.

셋째 이상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역대 최저치인 8.2%로 떨어졌다.

여자아이 100명당 남자아이 수를 뜻하는 출생 성비는 105.1명으로 전년보다 0.3명 증가했다.

▲ 연령별 출산율 [통계청 제공]

지난해 시도별 합계 출산율을 보면 세종(1.28명)과 전남(1.02명) 순으로 높았고 서울 출산율은 0.63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평균 출산 연령 역시 서울이 34.2세로 가장 높았으며, 첫째 아이를 낳기까지 걸리는 평균 결혼생활 기간도 서울(2.7년)이 가장 길었다.

출생아 중 첫째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63.7%)이, 반대로 셋째 이상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2.9%)가 가장 높았다.

시군구 단위로는 전국 228개 모든 시군구의 합계출산율이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대체 출산율(2.1명)을 밑돌았다.

합계 출산율이 1명 이상인 시군구도 62개에 그쳤다.

특히 부산 중구(0.38명)는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영광군(1.87명)이었다.

평균 출산 연령은 서울 서초구가 34.7세로 높았고, 강원 화천군은 30.3세로 낮았다.

출생아 수 자체는 경기 화성시와 수원시에 가장 많았다.

이외 출생아 수 상위 10개 지역 가운데 7개 시군구가 경기 지역에 분포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