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박민정 기자] 코로나19에 위축됐던 산업활동과 이동량이 회복되면서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발표한 지난해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7천960만t(톤)으로, 재작년 배출량 잠정치(6억5천660만t)보다 3.5%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정점을 기록한 2018년(7억2천700만t) 이후 이어진 2년간 이어진 감소세가 끝나고 반등한 것인데 코로나19 대유행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서 지난해 생산활동과 이동량이 종전 수준으로 회복해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작년 인구 1명이 배출한 온실가스는 13.1t으로 재작년(12.7t)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잠정치를 보면 발전·제조·수송 등 에너지 분야 배출량이 재작년보다 3.6% 증가한 5억9천60만t으로 전체 배출량의 87%였다.

에너지 분야 배출량 37%를 차지하는 '발전·열생산' 부분 배출량은 작년 2억2천200만t으로 재작년(2억1천810만t)보다 1.8% 늘었다.

다만 작년 발전량은 577TWh(테라와트시)로 재작년(552TWh)보다 4.5%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이 는 것은 아니었다.

석탄화력발전 비중이 줄어들고 액화천연가스(LNG)와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발전이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인다. 

실제 1MWh(메가와트시)를 생산할 때 온실가스 배출량은 작년 0.385t으로 재작년 0.395t보다 감소했다.

▲ 국가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제공]

지난해 수송 부문 배출량은 9천790만t으로 재작년(9천630만t)보다 1.7%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재작년 코로나19 방역정책에 이동수요가 줄었다가 작년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수요가 회복됐기 때문이다. 고속도로 교통량만 봐도 재작년 16억1천400만대에서 작년 17억2천700만대로 증가했다.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7.5%를 차지하는 산업공정 분야는 지난해 건설경기가 회복되면서 시멘트 생산량이 늘어나고 반도체 생산도 활발해지면서 배출량이 5천100만t으로 전년 대비(4천850만t)보다 5.2% 증가했다.

지난해 농업 분야 배출량은 980만t으로 재작년(960만t)보다 2.1% 증가했다. 육류 소비가 늘어나면서 사육하는 소와 돼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폐기물 분야 배출량은 지난해 1천680만t으로 재작년(1천710만t)보다 줄었다.

폐기물량은 증가세로 작년에도 늘었지만, 수년간 매립량 감소세가 이어진 점과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소각량이 줄어든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은 세계 평균(5.7%)이나 미국(6.2%)·유럽연합(7%)·중국(4.8%) 등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특히 국내총생산(GDP) 10억 원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355.7t으로 재작년(357.6t)보다 줄었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3.5%)은 GDP 증가율(4%)보다 낮았다.

센터는 "올해도 에너지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등을 달성하려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