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우리나라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 위험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보고서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 66세 이상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 소득 인구의 비율)은 40.4%로 집계됐다.

이는 18∼65세 빈곤율(10.6%)의 4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18∼65세 빈곤율 대비 66세 이상 빈곤율로 측정한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 위험도는 367.8%(2018년 기준)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상대적 빈곤 위험도 상위 국가인 스위스(250.0%), 호주(246.9%), 일본(153.8%) 등과 비교해도 우리나라의 빈곤 위험도는 월등히 높았다.

노인 저소득 문제도 여전히 심각했다.

지난 2020년 기준 우리나라 66세 이상 인구의 균등화 중위소득(처분가능소득 기준)은 1천809만원으로, 18∼65세 인구(3천240만원)의 55.8%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2020년 기준 20.2%(잠정)로 집계됐다.

이는 1970년 80.5%와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쌀(92.8%) 이외 콩류, 옥수수, 밀 등의 자급률은 10% 미만에 그쳤다.

결국 대부분 곡물은 수입해서 사용해야 하는 만큼, 국제 곡물가격 변동에 따라 국내 물가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또 우리나라의 저소득 가구 10가구 중 1가구 이상은 식품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기준으로 소득 수준이 '하'로 분류된 저소득 가구 가운데 13.4%는 관련 조사에서 '최근 1년간 충분하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최저 주거 기준 미달 가구의 비율은 2020년 4.6%로 전년(5.3%)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수도권(5.6%)이나 청년 가구(7.5%)의 경우 미달 가구 비율이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코로나 상황에 비대면으로 받아볼 수 있는 택배·배달 음식 수요가 늘면서 쓰레기 배출량도 함께 증가했다.

공공폐기물처리시설 내 폐기물 처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0년 종이류 쓰레기는 전년 대비 24.8% 급증했고, 플라스틱류 쓰레기도 18.9% 늘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