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값 하락을 식탁에서 체감하지 못한 것은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폭리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도매유통 단계의 이윤이 3.8%인데 소매 수익은 무려 10배 넘는 38.5%에 달해 쇠고기 가격이 거의 내려가지 않았다는 것이다.

 

1월 최우수 등급(1++) 한우는 100g당 도매가격이 1,607원으로 1년여 전보다 22.7%나 내렸음에도 백화점 가격(1만 1,738원)은 0.9%, 대형 할인점(8,862원)은 12% 올랐다.

 

한국소비자연맹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시행한 ‘한우고기 유통가격 조사결과’를 19일 발표했다.

 

한우 도매가격 하락률 대비 소비자가격 인하율을 보면 1++, 1+, 1등급 등 상위 3개 등급의 한우 지육(머리·우족·내장을 제거한 고기) 도매가격은 구제역 파동 이전인 2010년 10월보다 20.4~22.7% 떨어졌다.

 

소비자가격 하락률은 1++등급 6%, 1+등급 12.2%, 1등급 15.6%에 그쳤다.

 

일례로 이 기간 1++등급의 100g당 도매가격이 2,079원에서 1,607원으로 급락(-22.7%)했지만 소비자가격은 9,074원에서 8,526원으로 6% 내려갔다.

 

같은 기간 1++등급의 유통업체별 가격변동은 백화점이 1만1738원으로 0.9%, SSM은 8862원으로 12% 올랐다. 대형할인매장(-7.5%), 슈퍼마켓(-9.8%), 정육점(-10.8%) 등은 값이 내렸지만, 하락률은 도매가 낙폭에 미치지 못했다.

 

백화점 중에는 롯데의 3개 등급 평균 가격이 1만 1,058원으로 가장 비쌌다. 신세계는 1만 58원, 현대는 9,657원이었다.

 

4대 대형 할인점은 홈플러스(9,167원), 롯데마트(7,923원), 이마트(6,971원), 하나로클럽(6,885원) 순으로 3개 등급 평균가격이 매겨졌다.

 

횡성한우 한 마리 값을 기준으로 따져봤더니 유통수익은 2009년 37.5%, 2010년 40.9%, 2011년 42.3%로 매년 높아졌다. 도매단계 수익이 같은 기간 3.1%, 3.3%, 3.8%인데 반해 소매단계 수익은 34.4%, 37.6%, 38.5%로 수익증가 폭이 더 커졌다.

 

소비자연맹은 “1년 전과 비교해 유통비용의 증가가 거의 없음에도 소매 수익 비중이 늘어난 것은 판매업자의 이윤증가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음식점의 ‘돈 욕심’도 두드러졌다. 최근 6개월간 등심과 갈비의 가격을 내린 곳은 12곳(9.2%)에 불과했다. 9곳은 가격을 올렸고 나머지는 동결했다.

 

지역별로는 1++ 등급은 서울(1만246원), 1+등급은 천안(8828원)의 판매가격이 가장 높았다. 최저가인 춘천(1++등급 6109원), 목포(1+등급 5138원)보다 무려 67.7%, 71.8% 비쌌다.

 

소비자연맹의 이번 조사는 서울 등 11개 지역 511개 육류 유통점과 130개 소고기 취급 음식점을 상대로 이뤄졌다.

 

소비자연맹은 “백화점, 대형할인점, SSM, 전문음식점 등 사업자들은 도매가격 하락을 반영해 판매가격을 조속히 내리고 정부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직거래 방안을 마련해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