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지 기자] 올해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고령자의 비중이 약 1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에는 고령자 비중이 20.3%에 이르러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고령자의 절반 정도만 본인의 노후를 준비 중이거나 준비가 돼 있는데, 국민연금을 이용한 노후준비가 31.1%로 가장 많았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12만5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5.7%를 차지했다.

고령인구 비중은 앞으로 계속 증가해 2025년(1천51만1천명) 전체 인구의 20.3%에 이르러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60년에는 43.9%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계됐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를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21.7명이다. 저출산과 고령화 영향으로 노년부양비는 계속 늘어 2060년 91.4명에 이를 전망이다.

올해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464만2천가구로 전체의 22.8%였지만, 2047년에는 49.6%가 고령자 가구가 될 전망이다.

고령자 가구 중 1인 가구가 34.2%로 가장 많았고, 부부(33.1%), 부부+미혼자녀(9.7%), 부(모)+미혼자녀(5.5%) 순이었다.

고령화 정도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17.9%, 남성 13.5%보다 고령 인구 비중이 4.4%포인트 높았다.

지역별로는 올해 전남의 고령자 비중이 23.1%로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북(20.7%)과 전북(20.6%)이 다음으로 높았다. 반면 낮은 지역은 세종(9.3%), 울산(12.0%), 경기(12.7%) 순이었다. 2030년에는 세종(14.8%)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고령자의 사망원인은 암으로 인구 10만명당 750.5명이 사망했다. 다음은 심장질환(335.7명), 폐렴(283.1명), 뇌혈관질환(232.0명), 당뇨병(87.1명) 순이었다.

지난 2018년 건강보험 상 전체 진료비는 77조9천104억원이며, 이중 고령자의 전체 진료비는 31조8천235억원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1인당 진료비는 448만7천원, 본인부담 의료비는 104만6천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32만5천원, 3만1천원이 늘었다.

지난해 가구주 연령이 60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3억6천804만원으로 전년보다 446만원 증가했다.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77.2%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48.6%가 본인의 노후 준비를 하고 있거나 돼 있었는데 이는 10년 전보다 9.6%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비중은 남성(60.9%)이 여성(39.3%)보다 높았다.

주요 노후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31.1%)이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예금·적금·저축성보험(27.9%), 부동산 운용(14.6%), 기타 공적연금(13.0%), 사적연금(8.1%), 퇴직급여(4.7%) 순이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은 32.9%로 전년(31.3%)보다 1.6%포인트 올랐다. 실업률은 전년(2.9%) 대비 0.3%포인트 오른 3.2%를 기록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률은 매년 증가해 지난해 전체 고령자의 절반이 넘는 50.9%가 공적연금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76.9%는 본인 소유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저 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가구 비중은 전년보다 0.2%포인트 줄어든 3.9%였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하루 사용 시간을 살펴보면, 필수시간은 5년 전보다 24분 증가한 12시간 10분을 기록했다. 이중 건강관리 및 개인위생 시간 증가(17분)가 두드러졌고, 수면 시간과 식사 및 간식 시간은 각각 6분, 3분씩 늘어났다.

여가시간은 6시간 51분으로, 이중 미디어 이용 시간이 3시간 50분으로 가장 많았고 교제 및 참여 시간(1시간 23분), 스포츠 및 레포츠 시간(47분)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중 일(구직활동 포함)을 한 사람 비율은 33.8%로, 5년 전보다 1.0%포인트 증가했다.

5년 전보다 일 관련 시간은 2분, 학습 시간은 1분, 이동 시간은 4분 증가했고, 가사노동 시간은 6분 줄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31.0%는 평소 자신의 여가시간에 대해 만족하고, 30.5%는 가사분담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라는 남녀의 고정 성 역할에 대해 5년 전보다 7.7%포인트 높은 54.9%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